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우리나라 결핵환자, 2011년 최고치 이래 13년 연속 감소

헬스라이프헤럴드 조회수  

연도별 결핵 환자 추이 /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연도별 결핵 환자 추이 /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2024년 결핵환자 발생 동향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3월 24일(월),  ‘제15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결핵예방의 날은 결핵의 예방관리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자, 「결핵예방법」에 따라 매년 3월 24일로 지정한 날이다. 2011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지정돼 매년 행사를 개최해오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2024년 결핵환자 신고현황’이 발표됐다. 2024년 국내 결핵환자는 총 17,944명이 발생했으며, 이중 신규 환자는 14,412명, 재발 또는 재치료 환자는 3,532명이다. 총 환자 수는 전년 대비 8.2% 감소한 수치다. 

우리나라는 2000년 국가 결핵 감시체계를 구축한 이래 2011년 결핵 환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당시 총 환자 수는 50,491명으로, 인구 10만 명 당 100.8명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이후로 연평균 7.6%씩 꾸준한 감소세를 보여왔으며, 지난 13년간 64.5%(50,491명 → 17,944명)가 감소했다.

2024년 국내 결핵환자 중에는 65세 이상 고령자층이 58.7%(10,534명)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결핵환자 비중은 6.0%(1,077명)이었다. 외국인 결핵환자의 경우 2020년 이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결핵환자 특성 분석

2024년 결핵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 결핵환자는 10,534명으로 전년(11,309명) 대비 6.9% 감소하였으나, 전체 환자(17,944명)의 58.7%를 차지하며 매년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 65세 이상 비중: (`20) 48.5% (`21) 51.0% (`22) 55.4% (`23) 57.9% (`24) 58.7%

인구 10만 명당 결핵환자는 65세 이상이 105.8명으로 65세 미만(18.0명/10만명)보다 약 6배 높은 수치이다.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외국인 결핵환자는 결핵 고위험국가 출신 장기체류자를 대상으로 결핵검진 의무화를 추진한 2016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2024년에는 1,077명으로 전년(1,107명)대비 2.7% 감소하였다. 다만, 전체 환자 중 외국인 비중은 6%로 전년대비 0.3%p 증가하였다.

 * 외국인 비율: (`20) 5.2% (`21) 5.4% (`22) 5.3% (`23) 5.7% (`24) 6.0% 

한편 결핵환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체 환자 중 폐결핵 14,095명(78.5%), 폐 이외 장기에서 발생한 폐외결핵 3,849명(21.5%)이었다.

결핵 치료약제에 내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리팜핀내성 결핵환자는 461명으로 전년(551명)대비 16.3% 감소하였다.

주요 결핵관리 대응 정책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23~`27)」수립하여 결핵 全주기(예방·진단·치료)에 걸쳐 결핵 관리 정책을 추진 중이다. 고령층· 외국인 환자 비중 증가 등 최근 결핵 발생 특성을 고려, 결핵 환자를 조기 발견·치료하기 위한 결핵검진 및 역학조사, 환자 관리를 꼼꼼히 시행하고 있으며, 결핵 퇴치를 위한 연구도 강화하였다.

특히, 신체적·사회경제적 사유로 의료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인, 노숙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통해 ’24년 약 18.7만건의 검진을 시행, 총 133명의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추가 전파를 차단하였다.

 * 환자발견율(10만건당): (’20) 79.2명 (’21) 81.5명 (’22) 80.2명 (’23) 76.1명 (’24) 70.9명

결핵 환자의 조기 발견, 전파방지 및 신속한 후속 조치를 위하여 2013년 구성된 결핵 역학조사반은 결핵환자의 가족과 직장 등 집단시설 접촉자 대상으로 역학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작년(200명)대비 25.0% 증가한 250명을 조기 발견하였다.

 * ‘24년 가족접촉자 조사 16,220가구, 집단시설 역학조사 3,470건

또한, 민간공공협력(PPM, Private-Public Mix) 결핵관리 사업으로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 배치된 결핵 관리 전담 인력은 철저한 환자 관리를 수행 중이고, ’24년부터는 결핵의 치료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빈틈없는 관리를 위하여 환자의 상황에 따라 진단-복약관리-사회복지서비스 연계-전문치료지원을 하는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를 시행하였다.

 * ‘24년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 참여 현황: (의료기관) 174개, 294명 (보건소) 259개, 595명

아울러, 결핵 환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대상 검진 효율화를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체류 외국인 대상 “결핵 치료·관리 안내문(10개국어)”을 개발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2024년 주요 결핵관리 대응 정책 실적 /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2024년 주요 결핵관리 대응 정책 실적 /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또한, 올해부터는 결핵 퇴치를 위한 선진화된 실용 기술 개발 연구 투자를 강화한다. 다제내성결핵의 조기 발견을 위한 신속·동시 진단 기술과 결핵 고위험군의 발병 예측 기술을 고도화하고, 장기 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단기 치료법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또한, 완치 후 환자들의 건강한 삶 유지를 위해 결핵 후유증과 건강 위험 요인 분석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제 15회 결핵예방의 날

질병관리청은 3월 24일(월) 오전 10시 30분 「제15회 결핵예방의 날」 기념 행사를 개최하여 결핵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국가 결핵관리 사업에 기여한 유공자 및 기관에게 정부 포상 80점*을 수여하였다.

 * 대통령 표창 2점, 국무총리 표창 2점, 질병관리청장 표창 76점 총 80점

대통령 표창은 인천성모병원 김주상 교수가 호흡기내과 전문의로 활동하며 다년간 결핵환자 진료와 결핵치료 기술 향상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하였고 분당 서울대병원 이재호 교수는 결핵 관련 연구를 통해 결핵 조기 진단 및 내성균 확인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하였다.

국무총리 표창은 아주대학교병원 황민희 결핵 전담간호사가 결핵 신고환자 모니터링, 교육 및 상담, 환자 집중 관리 등에 공헌하여 수상하였고, 전라남도 영암군 보건소는 신생아·유아 대상 BCG 예방 접종을 적극 수행하는 등 `24년 국가결핵관리사업 공적 심사를 통해 지자체 중 국가 결핵관리사업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아 수상하였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결핵의 날을 맞아 “주간 건강과 질병*”을 통해 △우리나라 국가 결핵 관리 정책 연혁, △결핵 신고 및 국제 발생현황, △집단시설 역학조사 추이 분석 등 결핵 관련 다양한 연구 결과를 결핵 특집호(대한민국 결핵 관리의 도전과 성과)로 아래와 같이 발간하였다.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출처 :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또한, 전국 지자체는 결핵예방의 날을 계기로“결핵예방 주간”을 3월 23일(일)부터 3월 29일(토)까지 운영하며, 지역 내 보건소,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이 참여하여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전국적으로 결핵 예방의 중요성과 국가 결핵 지원 사업을 집중적으로 홍보한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기념사를 통해 “세계적으로 결핵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국가 결핵관리 사업을 차질없이 수행하여 13년 연속 결핵 환자 감소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결핵은 과거의 질병이 아닌 현재 진행형인 질병이기에 퇴치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 또한 중요함을 강조하며“특히, 65세 이상 어르신께서는 매년 1회 보건소 결핵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으시길 당부”하였다.

「본 기사는 질병관리청에서 2025년 3월 24일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헬스라이프헤럴드
CP-2023-0441@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일본 유후인여행코스 버스투어 후쿠오카 당일치기 후기
  • 아직 솔로 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8살 연하 일반인이랑" 몰래 결혼 한 아나운서
  • 항혈소판제 작용 종류 사용법 및 주의사항
  • 우열을 가리기 힘든 세종과 퓨리오사AI 테마
  • 경북 안동 가볼만한 곳 이육사문학관
  • 관세청, ‘국산 둔갑 우회 수출’ 대대적 단속 착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