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 시절 가난을 겪은 사람들은 종종 자신도 모르게 현실을 감추려는 말을 내뱉는다. 그 말은 단순한 허세가 아니라, 과거의 상처를 감추기 위한 방어기제이기도 하다.
무심코 뱉지만, 그 안에는 복잡한 감정이 얽혀 있다.

1. “나는 원래 이런 게 더 좋아”
비싸고 고급스러운 선택지 앞에서 “난 원래 이런 거 안 좋아해”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감당할 수 없어서 선택지를 줄이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선택하지 못한 것을 외면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하려는 말이다.

2. “어릴 땐 더 재밌게 살았어”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옛날이 더 좋았지”라고 말하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시절의 부족함과 결핍을 미화하는 경우가 많다.
힘들었던 시절을 긍정적으로 포장함으로써 현재의 괴리감을 덜어보려는 심리다.

3. “돈이 전부는 아니잖아”
돈에 대한 대화에서 “돈이 다는 아니지”라고 말하지만, 그 말 속에는 경제적 한계에 대한 체념이 담겨 있다. 실제로는 돈의 중요성을 절감하면서도, 가난에 대한 자격지심을 감추려는 자기 방어다.

4. “나는 욕심이 없어”
크고 좋은 것을 포기할 때 “난 원래 욕심이 없다”는 말로 넘긴다. 하지만 그 말은 진짜 욕망이 없어서가 아니라, 과거에 계속 포기해야만 했던 경험에서 비롯된 체념일 수 있다.
욕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가질 수 없던 시간이 너무 길었던 것이다.

이 말들은 겉보기엔 겸손하거나 소탈해 보이지만, 그 속엔 가난이 남긴 흔적이 숨어 있다. 자신도 모르게 반복하는 말 속에서 과거의 상처가 드러나기도 한다.
이 말을 탓할 필요는 없지만, 그 말에 가려진 감정을 인정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비로소 진짜 회복이 시작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