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 군부 장악력 약화 조짐
최근 중국 내부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군부 장악력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2024년부터 이어진 고위 군 장성들의 연이은 실각, 공개 행사에서의 군 지도자 언급 축소 등은 시진핑의 통제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과거 ‘절대 충성’을 외치던 인민해방군 내부 분위기도 변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장유샤, 실질적 군 통제자로 급부상
이 와중에 실질적인 권력을 손에 쥐고 있다는 인물이 바로 장유샤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이다. 장유샤는 실전 경험과 정치적 연륜을 동시에 갖춘 군 고위 인사로, 시진핑 체제의 초기 군 인사 개편을 함께 이끌며 신뢰를 쌓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최근 그는 독자 노선을 걷는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군 내 실권자로 주목받고 있다.

‘제2 권력자’로 부상한 배경
장유샤는 중월전쟁 참전 경험, 방위 산업에 대한 이해, 고위급 인맥 등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군 내 영향력을 확장해왔다. 그는 단순한 행정형 군인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휘 경험과 전략 운영 능력을 갖춘 인물로 평가된다. 게다가 최근 이어지는 군부 숙청과 구조 재편에서 장유샤 인맥이 빠르게 주요 요직을 차지하면서 사실상 ‘그림자 최고 권력자’로 떠올랐다.

군 권력 이동과 시진핑의 입지 축소
중앙군사위 내에서 장유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시진핑의 ‘1인 통치’ 기반은 약화되는 양상이다. 군부 내부에서는 과거 시진핑의 권위적 리더십 대신 ‘집단지도 체제’가 부활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이는 곧, 시 주석의 독립적 군 통제가 약화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치 군사 분리 구도 가시화
일각에서는 시진핑이 정치 중심 권력자로 남고, 장유샤가 군사 중심 실권자로 역할 분담하는 ‘이원 권력 구조’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향후 내부 정책 조정뿐만 아니라 외교 전략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대만 문제나 남중국해 분쟁 등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 장유샤의 판단력이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중국 권력의 전환기 도래?
시진핑은 여전히 국가주석이자 군통수권자지만, 실질적 권한의 상당 부분이 장유샤에게 넘어갔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현재 중국은 권력 분산과 재편의 기로에 서 있으며, 이 과정은 국내 정치뿐 아니라 국제질서에도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중국 내부에서 진행 중인 ‘조용한 권력 교체’는 지금 이 순간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세계는 그 여파를 주의 깊게 주시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