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 환자에서 간암 발생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위험 예측모델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모델은 간 질환 전문의들이 환자의 고위험군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해 조기 개입과 감시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이대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전호수·이민종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김승업 교수 공동 연구팀 주도로, 국내 5개 기관과 미국·유럽·아시아 등 총 15개 해외 기관이 참여한 다국적 다기관 코호트 연구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소화기내과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온라인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서 명칭이 바뀐 것으로, 비만·고혈압·고지혈증·당뇨 등 심혈관 대사 위험 요인과 연관돼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이다. 간경변이 없어도 간암이 발생할 수 있어 최근 국내외에서 조기 진단과 정밀한 예측 도구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팀은 총 7만7,677명의 MASLD 환자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했으며, 나이·성별·혈소판 수치 외에도 5가지 심혈관 대사 위험 요인 중 비만과 당뇨가 간암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위험인자라는 점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새롭게 간암 예측모델을 개발했으며, 이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의미하는 C-index는 0.835로 기존 예측 도구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특히 미국·유럽·아시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외부 검증에서도 예측도가 0.926에 달해 글로벌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간 섬유화가 진행된 고위험군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기존 예측모델인 ‘애자일(Agile) 3+’와 ‘Agile 4’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였다.
전호수·이민종 교수는 “이번 연구는 MASLD 환자에서 각 대사 위험 요인의 간암 발생 기여도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며 “비만과 당뇨가 간암 발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을 입증한 만큼, 해당 위험인자들을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사성 질환 환자의 간암 발생을 예측하고 조기 개입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계와 임상 현장에서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MASLD 환자 관리에 있어 향후 정밀의료 접근의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