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6세대 전투기 도전 선언…하나에어로스페이스의 영상 하나가 촉발한 충격
2025년 4월, 하나에어로스페이스가 공개한 6세대 전투기 컨셉 영상 하나가 전 세계 방산계를 뒤흔들었다. ‘항공 솔루션’이라는 제목의 이 영상에는 KF-21 블록3의 고도화된 형상과 함께, 전혀 새로운 외형의 6세대 전투기 모델이 등장하며 한국이 6세대 전투기 개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음을 알렸다.
이는 한국의 5세대 전투기 KF-21이 아직 양산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한발 앞선 미래 전략 공군력 구축 의지를 전면에 드러낸 것이다. 놀라운 것은 이 영상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아닌 하나에어로스페이스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엔진 개발을 주도하는 하나에어로스페이스는 현재 KF-21 블록3에 적용될 국내산 가스터빈 기반의 제트 엔진을 개발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6세대 엔진 기술도 병행 중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수직꼬리 날개 없는 델타형 설계…완전히 다른 공중전 플랫폼
하나에어로스페이스가 공개한 6세대 전투기 컨셉은 기존 5세대 플랫폼과는 명백히 구분되는 차세대 항공 플랫폼의 등장을 알렸다. 수직 꼬리날개가 없는 델타형 구조, 동체와 날개의 일체형 설계는 스텔스 성능 극대화와 동시에 고속 기동성을 추구한 결과물로 보인다. 특히 해당 설계에는 내부 무장창, 레이저 무기 통합 가능성, AI 기반 임무 최적화 시스템, 유무인 복합 작전 체계 등 6세대 전투기에 요구되는 필수 기술이 모두 포함돼 있다.
우크라이나 군사 매체와 폴란드의 방산 전문 채널들은 해당 모델에 실제 F414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엔진이 들어갈 가능성을 분석하며, “한국이 단순한 외형이 아니라 핵심 기술까지 접근해 있다는 강력한 신호”라고 평가했다.

사우디의 참여, 인도네시아의 소외…공동개발국의 운명은 바뀌었다
공동개발국으로서 KF-21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인도네시아는 최근 하나에어로스페이스의 6세대 모델 영상이 공개된 이후 당혹스러운 분위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현지 군사 매체와 유튜버들은 “이 영상은 인도네시아를 초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초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놨다. 실제로 최근 KF-21 프로젝트의 일부 지분을 사우디아라비아가 인수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사우디가 6세대 개발 파트너로 거론되면서 인도네시아는 실질적인 개발 파트너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
사우디는 이미 KF-21의 블록2 모델을 60억 달러 규모로 구매할 예정이며, 여기에 6세대 전투기 개발까지 공동 참여한다면 중동 최대 방산 파트너가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인도네시아는 미지급 분담금 문제와 기술 이전 갈등, 프랑스 라팔 전투기 계약 등의 이유로 한국 내 방산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신뢰를 잃고 있다는 평가다.

중국의 경계심과 조롱…“PPT는 한국이 더 잘 만든다”
중국은 이번 한국의 6세대 전투기 영상 공개에 복잡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 군사 커뮤니티에서는 “한국은 5세대도 못 만들면서 6세대를 보여준다”며 조롱하는 반응을 보였지만, 영상 수준과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PPT 퀄리티는 한국이 더 낫다”, “일본보다 강할 것 같다”는 반응도 이어졌다.
특히 중국이 최근 자국의 6세대 전투기로 알려진 젠-50의 테스트 사진을 공개하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여전히 실체가 명확하지 않고 엔진 자립화에 실패한 전례가 많아 신뢰도가 낮은 상태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진정으로 경계하는 것은 KF-21이 실제로 양산 중이고, 한국이 자체 엔진 개발까지 진척시키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엔진 기술이 경쟁력…KF-21에서 6세대까지 이어지는 흐름
하나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 중인 15,000파운드급 국산 전투기 엔진은 단순히 KF-21에 탑재되는 수준을 넘어, 6세대 전투기까지 아우를 수 있는 파워플랜트로 진화 중이다. 이는 미국의 F414 엔진을 완전히 대체하면서 수출 라이선스 문제를 해결하고, 독립적인 방산 수출 국가로 도약할 수 있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중국이 수년째 자체 엔진 개발에 실패해 5세대 전투기조차 자국산으로 양산하지 못하는 상황과 비교하면, 한국의 기술력은 미래 공중 전력 시장에서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AI와 하나에어로스페이스가 협업해 KF-21에서 시작해 6세대까지 이어지는 일관된 개발 로드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6세대 항공전 경쟁에 뛰어든 ‘한국’…이제는 글로벌 주도국
KF-21 6세대 컨셉 영상 하나는 단순한 선전물이 아니다. 한국이 차세대 공군력 건설에 있어 스텔스·AI·유무인 복합작전·자체 엔진 기술이라는 4가지 축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선언이며, 이는 미국·영국·일본·프랑스 중심의 6세대 항공전 경쟁에 실질적인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폴란드가 인도네시아의 지분을 인수하려는 움직임, 사우디의 대규모 투자 시사 등은 한국의 기술력뿐 아니라 신뢰도 높은 방산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자주국방의 틀을 넘어 항공 패러다임을 수출하는 국가로 진화하고 있다”며 “전차·자주포에 이어 전투기 분야에서도 글로벌 핵심 수출국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댓글2
김홍재
너도 기자냐? 하나에어로스페이스는 어디 회사냐? ai로 글을 썼냐? 아니면 말을 ai로 번역한거냐? 진짜 한심하다..
무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아닌가요? 본문에 전부 하나라고 써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