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하루 1천대 자폭드론 동시 운용 능력 갖춰
러시아가 하루 1,000대 이상의 자폭 드론을 동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이미 갖춘 상황이며, 곧 2,000대 규모로 전술을 확대할 준비 중이다. 최근 독일 연방군 고위 관계자는 러시아가 드론 생산을 북한에 외주까지 주며 비축량을 급속히 늘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지난 7월 9일에는 750대를 투입했고 이후 600대를 추가 투입하며 실전에서 시스템의 작동 능력을 입증했다. 이는 단순한 무장 확장이 아니라, 수천 대의 드론이 한꺼번에 몰려오는 ‘포화 공격’ 전술의 현실화를 의미한다.

경제적 불균형이 빚는 방공망 붕괴 위험
우크라이나가 사용하는 고성능 방공무기인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1발당 약 500만 달러에 이르는 반면, 러시아 자폭 드론은 개당 약 2,000만 원으로 저가 무장이다. 이러한 극심한 경제적 불균형은 우크라이나 방공 체계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다. 고가의 요격 체계로 다발 저가 드론을 상대하는 것은 유지에 큰 부담이므로 시스템 전반이 빠르게 무력화될 수 있다.

북한 적용 가능성…한국도 ‘우크라이나의 미래’ 될 위기
더 큰 위협은 러시아의 대량 드론 전략이 북한에 전수될 가능성이다. 북한은 이번 협의를 통해 러시아식 드론 전술을 그대로 배우고 있으며, 장차 대한민국 수도권을 목표로 동일한 자폭 드론 포화 공격에 직면할 수 있다.

과거 드론이 대통령실 상공까지 침투한 전력도 있어 남한 대부분 지역이 잠재적 사거리 내에 있다는 점이 우려를 가중한다.

한국 방공망의 구조적 취약성 드러나
한국의 현재 방공망은 정밀 탄도탄이나 군용 항공기에 대응하도록 설계돼 있어 저공 비행 소형 드론의 대량 침투에는 매우 취약하다. 기존 레이더와 요격 미사일체계는 다발 저고도 위협에 대한 탐지 및 대응 능력이 부족하며, 실시간 식별과 대량 요격 효율성이 떨어진다.

즉각적인 대응 체계 재편이 절실하다
러시아와 북한의 드론 포화 공격 전술은 단기간에 대응 가능한 위협이 아니다. 현재의 경보-요격 체계를 즉각 재정비하고, 저고도 다발 무인기 대응 능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인 탐지 네트워크 구축, 경량 레이더 및 연동 요격 드론 또는 ADS(능동방어시스템) 도입, AI 기반 자율 식별 시스템의 도입 등이 시급하다. 이 모든 대응은 지금 이 순간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늦추면 대한민국 하늘에서도 곧 ‘우크라이나의 현재’가 재현될 수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