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럼프의 25% 관세”에 웃은 현대차, 이유는 20년 전 전략
🇺🇸 미국에 30조 투자한 현대차, 관세에서 자유로워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자동차 관세 25%는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하지만 유독 현대차그룹만은 이슈 직후에도 여유를 보이고 있다. 이유는 명확하다.
이미 미국에 막대한 투자와 생산기반을 구축해놓았기 때문이다. 2028년까지 30조 원을 추가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현대차는 미국 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세 면제 혜택을 챙기게 됐다.
📌 “현지 생산 확대 덕분에 트럼프 관세도 피해 간 셈입니다”

🏭 조지아·앨라배마 공장으로 연간 85만대 생산
현대차는 이미 조지아주에 연간 50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메타플랜트를 준공했다. 여기에 2005년부터 운영 중인 앨라배마 공장을 더하면, 미국 내 생산량은 연간 85만대를 넘는다.
트럼프가 강조한 ‘Made in USA’ 조건을 충족하며, 향후 전기차·하이브리드 차종 중심으로 혼류 생산 시스템도 강화되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만 연 10만대 이상 생산할 계획이다.
📌 “한발 앞서 준비한 현지화 전략이 지금 효과를 발휘합니다”

💵 2조원 규모 인센티브로 ‘특급 대우’ 받은 이유
조지아주는 현대차에게 여의도의 4배 규모 공장 부지를 무상 제공했고, 총 2조2000억 원에 달하는 인센티브 패키지를 마련했다. 이는 미국 내 다른 전기차 업체보다도 파격적인 수준이다.
미국 정부는 고용 창출과 친환경차 확대를 위해 현대차의 대규모 투자를 적극 유치했고, 현대차는 이를 정확히 겨냥해 움직였다. 이는 단순한 공장 건설이 아니라 ‘정치적 우위’까지 얻는 투자였다.
📌 “현대차는 미국 내 최대 ‘우군’으로 자리 잡은 셈입니다”

📈 20년 장기 전략, 미국 수출 3배 성장으로 연결
현대차의 미국 공장 운영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일이 아니다. 2005년 앨라배마 공장 설립 이후 20년 가까이 다져온 시스템이 이제야 빛을 보고 있다. 미국 판매량은 68만대에서 170만대로 늘었고, 한국에서 미국으로의 수출액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공장을 미국에 짓고, 부품은 한국에서 조달하는 전략은 오히려 수출에도 도움이 된 셈이다.
📌 “현대차의 현지 전략은 수출 확대 효과까지 일으켰습니다”

🔧 부품사도 동반 진출…수출 7배 증가한 결과
현대차와 함께 미국에 진출한 국내 부품사들도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04년 11억 달러에 불과했던 한국 부품업체의 미국 수출액은 2023년 82억 달러로 7배 이상 늘었다.
현재는 25개 중견 부품업체가 미국에서 직접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런 동반 진출 구조는 미국 내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관세·물류비 부담도 줄여주는 구조다.
📌 “완성차와 부품업체가 함께 성장하는 드문 성공 모델입니다”

🛡 정부도 3조 원 투입해 자동차 산업 방어
한국 정부 역시 관세 위기 대응을 위해 3조 원 규모의 긴급 대책을 내놓았다. 정책금융 2조 원 추가 공급과 상생 프로그램 1조 원 조성 외에도, 수출바우처와 단기수출보험료 할인, 친환경차 생산시설 세제지원까지 포함된다.
특히 전기차·자율주행 분야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지원 폭을 더욱 넓히겠다는 계획이다.
📌 “정부도 현대차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방어에 나섰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