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억 초과 거래 86% 급감했지만…신고가 비율은 66%

6·27 부동산 대책 시행 후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비중이 높아지는 등 시장 양극화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산가들이 고가 아파트로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29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에 따르면 수도권의 거래량 감소율은 72.5%로 비수도권(39.9%)보다 약 1.8배 가팔랐다.
거래량은 줄었지만, 외려 신고가 비율은 늘었다. 수도권에서 20억 원 초과 아파트 거래량은 6·27 대책 이전 한 달(1771건) 대비 85.8% 감소해 251건을 기록했다. 그런데 신고가 비율은 66.1%(166건)으로 전 가격대에서 가장 높았다.
평형대별로 보면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평수 거래량은 대책 이전 5134건에서 이후 1066건으로 79.2% 감소했지만, 신고가 비율은 12.1%(129건)로 전 평형 중 가장 높았다. 이는 대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산가들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가장 안전하고 희소성 높은 자산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파트 연식별로 봐도 수도권에서 ‘5년 이하 신축’의 신고가 비중이 12.7%로 가장 높았다. 미래 가치를 폼은 ’30년 초과 노후 구축’도 신고가 비율이 9.5%를 기록, 뒤를 이었다. 반면, 준신축(4.2%)이나 일반 구축(4.4%) 아파트의 신고가 비율은 절반도 못 미쳤다. 확실한 주거 가치가 있는 신축이나, 미래 투자 가치가 있는 재건축 단지만 선호하는 상황인 셈이다.
‘6·27대책 이전 최고가 대비 상승률’로 보면 수도권이 5.6%로 비수도권(4.1%)보다 높았다. 자치구별로 보면 서울 서초구는 기존 최고가보다 평균 8.6% 비싸게 거래됐으며, 양천구(8.3%), 성동구(8.3%), 강남구(8.1%) 등 순이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침체와 과열이 공존하는 양극화 시장으로 만들었다”며 “대출 규제로 인해 대다수 일반 아파트의 거래는 끊기는 반면,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현금 유동성을 기반으로 한 수요가 희소성 높은 초고가·신축·재건축 단지로만 집중되며 오히려 가격 상승 압력이 더 커지는 그들만의 리그가 공고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 읽기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