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에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보양식을 찾는 이들이 많지만, 한의학 전문가들은 “체질에 따라 보양 방식도 달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경희대한방병원 사상체질과 이준희 교수는 “사람마다 기초 대사, 순환 상태, 체열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체질에 맞지 않는 보양식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상의학은 사람을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 ▲태양인 네 가지 체질로 구분하며, 각 체질에 따라 폭염에 대한 민감도나 반응이 다르다.
-
소음인은 소화기능과 순환이 약하고 체력이 약해 무더위에 쉽게 탈진하며, 식욕부진이나 탈력감을 호소하기 쉽다.
-
소양인은 열이 많아 여름철 체내 열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피부나 신경계 과민 반응이 악화된다.
-
태음인은 대사가 느리고 노폐물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체액이 정체되며 부종이나 무력감을 느끼기 쉽다.
-
태양인은 에너지를 급격히 소모하는 체질로 과도한 발한으로 인해 체력이 급속히 저하될 수 있다.
이 교수는 특히 “체질에 맞지 않는 보양식은 여름철 건강을 오히려 위협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보양식인 삼계탕은 따뜻한 성질을 가진 음식으로, 소음인에게는 기력을 보강해주는 좋은 선택이지만, 소양인에게는 체열을 더욱 높여 소화불량, 불면증,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체질별 추천 여름철 음식은 다음과 같다.
-
소양인: 열을 내려주는 성질의 돼지고기, 오리고기, 해삼, 전복 등 추천
-
태음인: 체액 순환을 도와주는 소고기, 곰탕, 율무, 우유 등
-
태양인: 발한이 심한 만큼 수분 보충이 중요하며, 메밀, 문어, 포도, 키위 등 찬 성질 음식 권장
-
소음인: 따뜻한 음식과 적당한 휴식을 병행하며, 과한 운동·차가운 음식은 피할 것
이 교수는 “보양이란 단순히 보신이 아닌,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기운을 보충하는 것”이라며 “스스로 체질을 단정짓고 섭생을 실천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체질 진단을 받은 후 맞춤형 건강관리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올여름도 강력한 폭염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의학적 체질 맞춤 관리가 새로운 여름철 건강관리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경희대한방병원은 지속적인 체질 기반 건강정보 제공과 진료를 통해 폭염으로 인한 건강 위기 예방에 힘쓸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