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아반떼 이제 지긋지긋”…K4 국내 도로서 포착되자 출시 관심↑

오토포커스 조회수  

K4. [사진=기아]
K4. [사진=기아]

기아가 북미 시장에 공개한 K4가 국내 준중형 세단 시장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기존 K3의 뒤를 잇는 후속 모델로 소개된 K4는 플랫폼과 차체 크기, 디자인 전반에서 기존과 다른 방향성을 보여준다.

K4는 북미 전략형 모델로 소개됐지만 최근 국내 도로에서 위장막을 쓴 시험 차량이 여러 차례 포착되면서 국내 출시 가능성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K3 단종 이후 준중형 세단 시장에서 선택지가 줄어든 상황에서 K4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아는 아직까지 국내 투입과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테스트 차량이 서울과 수도권 일대에서 반복적으로 포착되고 있어 실제 판매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기존 준중형 세단에 대한 수요가 일정 수준 유지되는 가운데, 시장 반응을 고려한 내부 검토가 진행 중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K4. [사진=기아]
K4. [사진=기아]

K4는 단순한 이름 변경 모델이 아니다. K3 대비 크기가 크게 커졌으며 차량 구성도 전반적으로 바뀌었다. 전장 4710mm, 전폭 1850mm, 휠베이스 2720mm로 설계돼 현행 아반떼보다 길고 넓다. 실내 공간 확보에도 유리한 구조다.

동급 기준에서 전폭이 1850mm에 달하는 점은 비교적 이례적이다. 이는 중형급 차량에 가까운 체급으로 분류되며 준중형 세단 중에서는 드문 구성이다. 주행 안정성이나 실내 공간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엔진 구성은 북미형 기준으로 2종이 공개됐다. 기본형은 최고출력 147마력의 2.0리터 가솔린 자연흡기 엔진이 탑재되며, 상위 트림에는 190마력의 출력을 내는 1.6리터 터보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된다. GT-Line 트림은 주행 성능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겨냥한 구성이다.

K4. [사진=기아]
K4. [사진=기아]

실내는 30인치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가장 눈에 띄는 변화다.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형태로, 최신 ccNC 플랫폼과 OTA 기능도 지원한다. 차량 내 디지털 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점이 특징이다.

외관은 패스트백 스타일 루프라인과 간결한 전면부 디자인이 중심이다. 전통적인 세단 이미지에서 벗어나 스포티한 감각을 더한 디자인으로, 북미 소비자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도 일정 수준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K3는 2018년 출시된 이후 여러 차례 개선이 이뤄졌지만 경쟁 모델과의 차별화가 쉽지 않았다. 최근 몇 년간 소형 SUV의 확산과 함께 세단 수요가 줄어들며 K3의 판매도 감소했고, 결국 단종 수순을 밟았다.

K4. [사진=기아]
K4. [사진=기아]

국내 준중형 세단 시장은 현재 아반떼가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로 남아 있다. 시장 규모는 줄었지만 공공기관이나 법인 수요 등 고정적인 수요층이 존재하고, 비교적 낮은 유지비를 선호하는 소비자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기아 K4는 시장에 또 다른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된다. 크기와 실내 구성, 동력 성능 등 여러 요소에서 기존 K3 대비 경쟁력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특히 차급을 키운 점은 시장 반응과 맞물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K4. [사진=기아]
K4. [사진=기아]

기아는 공식적으로는 “국내 출시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으나, 북미 전략형이라는 전제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험 주행이 진행되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실제 판매 가능성을 전제로 한 준비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시장에서는 연내 또는 내년 상반기 중 국내형 사양이 일부 조정된 채 출시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파워트레인 구성이나 트림 조정이 이뤄질 경우 국내 소비자 수요에 맞는 형태로 변형될 여지도 있다.

K4는 단순한 모델 교체가 아니라, 준중형 세단 시장 내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기아의 전략적 시도다. SUV 중심 시장 구조 속에서도 세단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반영돼 있다.

K4. [사진=기아]
K4. [사진=기아]

중형급 세단과 준중형 사이에서 균형을 맞춘 K4는, 선택지 부족으로 단조로워진 시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다. 경쟁이 늘어나면 제품 구성이 다양화되고 소비자 혜택도 기대할 수 있다.

기아 K4의 국내 출시 여부는 아직 미지수지만, 테스트 차량이 포착된 정황과 시장 내 요구를 고려할 때 현실화 가능성은 충분하다. 출시 여부와는 별개로 K4는 준중형 세단 시장에 다시 주목이 쏠리게 만든 계기가 되고 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오토포커스
CP-2025-0165@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과천은 뛰고 광명은 내리고…올해 수도권 전세가격 희비 커진다
  • 드디어 실물 포착…신형 투싼 풀체인지, 어떻게 변하나
  • "2천만원대로 확 싸졌다"…남자들 심장에 불 지르는 세단의 정체
  • 하라주쿠 팝 마트, 시부야 스크램블 명당 크로싱, 완탕면
  • 밥 짓기 전 "쌀 이렇게 씻으면" 영양소만 날아가고 위장 더 약해집니다
  • 집 거실에다 "이 식물"만 놔둬도 돈이 끝없이 들어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