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반떼 하이브리드.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82455af8-1162-4eda-ad28-2d91bf577edb.jpeg)
사회초년생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 사이에서 꾸준히 선택받는 현대차 준중형 세단 아반떼 하이브리드가 한층 매력적인 구매 기회를 제공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아반떼 하이브리드 구매 고객을 위해 다양한 할인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우선 기존 차량을 현대 인증중고차에 매각하고 신차를 계약하면 50만원의 할인이 적용된다. 운전연수를 마친 고객을 위한 운전결심 프로그램 참여 시 20만원의 캐시백이 제공되며, 전시차를 선택하면 추가로 20만원의 혜택이 더해진다.
이와 함께 블루멤버스 포인트 선사용 25만 포인트, 현대카드 세이브-오토 30만 포인트, 베네피아 제휴 타겟 10만원, 200만 굿 프렌드 프로그램 최대 15만원 등 여러 부가 혜택이 준비됐다.
여기에 개별소비세 인하와 하이브리드 차량 세제 감면까지 적용하면 약 126만원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든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면 2617만원부터 시작하는 아반떼 하이브리드의 실구매가는 약 2190만원까지 낮아진다.
![아반떼 하이브리드.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406c50ba-1087-4b96-92f8-6e1dbcba96ec.jpeg)
아반떼 하이브리드는 스포티하면서 세련된 디자인이 돋보이는 모델로 2025년형에서 상품성이 더욱 강화됐다. 계기판 주변 클러스터 공간을 넓혀 활용도를 높였고 인기 옵션이 중·하위 트림까지 확대 적용됐다.
특히 전자식 룸미러(ECM)가 전 트림 기본화됐으며 모던 트림에는 하이패스, 운전석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2열 에어벤트가 새롭게 탑재됐다.
스티어링 휠 왼쪽 클러스터 사이드 패널도 자석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개선돼 카드나 소형 액세서리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는 이 공간을 활용한 전용 수납함과 멀티 홀더 등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파워트레인은 1.6리터 가솔린 하이브리드 엔진과 32kW 전기모터,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6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조합으로 구성됐다. 시스템 최고 출력은 105PS, 최대 토크는 15.0kg.m를 발휘하며, 전기모터의 보조로 부드러운 가속과 경쾌한 주행감을 제공한다.
![아반떼 하이브리드.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a4765644-e3af-4ec5-a19d-ef0eb5a83ecc.jpeg)
연비 효율도 이 차의 강점이다. 복합 연비는 21.1km/L로 동급 최고 수준이며 도심 21.4km/L, 고속도로 20.7km/L의 수치를 갖춰 출퇴근과 장거리 주행 모두에서 경제성을 체감할 수 있다.
차체 크기는 전장 4710mm, 전폭 1825mm, 전고 1420mm, 휠베이스 2720mm로 준중형 세단 이상의 넉넉한 거주성을 제공한다.
이번 할인 프로모션은 하이브리드 세단을 찾는 소비자에게 단순한 가격 혜택을 넘어 실용적 가치까지 높여주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연비 효율과 상품성을 동시에 갖춘 아반떼 하이브리드는 실속 있는 첫 차 또는 경제적인 패밀리카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다.
![아반떼 하이브리드.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49803087-b14b-488b-9f9f-d3470eefdc3b.jpeg)
2025년 8월 아반떼 하이브리드 판매조건
· 생산월 조건: 150만원
· 블루멤버스 포인트 선사용: 25만 포인트
· 전시차: 20만원
· 현대카드 세이브-오토: 30만 포인트
· 트레이드-인 특별조건: 50만원
· 베네피아 제휴 타겟: 10만원
· 운전결심 X 현대 모빌리티 카드: 20만원 캐시백
· 200만 굿 프렌드: 최대 15만원
· 개소세 인하 및 하이브리드 감면: 약 126만원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