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선풍기 “하루에 4시간만 돌렸는데도” 전기세 폭탄맞은 원인

건강의 모든것 조회수  

fazoo
fazoo

선풍기 “하루에 4시간만 돌렸는데도” 전기세 폭탄맞은 원인

날이 더워지면 당연히 선풍기부터 꺼내게 됩니다. 에어컨보다는 전력 소비가 적다고 알려진 선풍기, 그래서 ‘선풍기는 마음껏 틀어도 전기세 걱정은 없다’는 생각으로 안심하고 사용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막상 한 달이 지나고 나서 전기요금을 보면 깜짝 놀랄 때가 있죠. 분명 하루 4시간 정도밖에 틀지 않았는데도 예상보다 훨씬 많은 전기요금이 나왔다면, 그 원인을 다른 데서 찾아봐야 합니다.

의외로 많은 분들이 주방과 식습관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비 증가를 간과하고 계신데요. 특히 더운 여름철, 선풍기 사용 시간 자체보다 주방에서의 잘못된 조리 습관이 전기세 상승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fazoo
fazoo

전기세 폭탄의 진짜 원인은 ‘주방’

선풍기만 하루 4시간 정도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일반 소비 전력 기준으로 월 전기 요금은 2,000원~3,000원 선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주방에서 전기레인지,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냉장고, 냉동고, 정수기 등 다양한 전기기기를 자주 사용하면서도 이 전력 소비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자주 조리하는 음식들이 문제입니다. 불을 오래 사용해야 하는 찜요리, 오븐 조리, 전기밥솥 보온 상태 유지, 심지어 전자레인지로 냉동식품 해동하거나 데우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연스럽게 소비 전력이 누적됩니다. 여기에 선풍기를 주방 안에서 틀어놓고 조리까지 하는 경우, 동시에 여러 가전이 돌아가면서 순간적으로 높은 전력을 쓰게 됩니다.

housecom
housecom

전기세를 올리는 대표적인 조리 습관 1 ‘냉동식품 무리한 해동’

여름철 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면 간편한 냉동식품을 자주 찾게 됩니다. 냉동 갈비찜, 냉동전, 냉동김치전, 냉동만두 같은 음식들은 전자레인지나 에어프라이어를 통해 빠르게 조리되지만, 이 과정에서 한 번에 높은 전력량을 소모합니다. 특히 전자레인지로 냉동식품을 해동하는 데 10분 이상 걸린다면, 선풍기보다 몇 배 높은 소비 전력이 발생합니다.

Tip: 냉동식품은 미리 상온 해동 후 조리하거나, 뜨거운 물에 봉지째 넣는 방식으로 기본 해동을 해두면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housecom
housecom

전기세를 올리는 대표적인 조리 습관 2 ‘전기밥솥 장시간 보온’

전기밥솥을 장시간 보온 상태로 두는 집이 많습니다. 밥을 아침에 하고, 저녁까지 보온해 두는 것이 습관처럼 굳어져 있는 경우가 그렇죠. 하지만 이 ‘보온’ 기능은 말 그대로 밥솥이 계속 전기를 소비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루 10시간 이상 보온을 유지한다면, 하루 선풍기 4시간보다 더 많은 전력 소비가 생깁니다.

게다가 밥 보관 중 수분이 날아가 밥이 굳어지거나 변질되기 때문에, 따로 보관 후 다시 데우는 것이 훨씬 전기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Tip: 밥은 지은 후 적당량을 덜어내 냉동 보관하고, 먹을 때 전자레인지로 필요한 만큼만 해동하는 방식이 더 효율적입니다.

suri-k
suri-k

전기세를 올리는 대표적인 조리 습관 3 ‘오븐과 에어프라이어 남용’

요즘 오븐이나 에어프라이어로 요리하는 가정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여름에는 기름기 많은 음식 대신 구운 요리를 선호해 더 자주 사용되곤 합니다. 에어프라이어에 넣고 구워 먹는 고구마, 닭가슴살, 연근칩, 양파링 등은 건강식으로도 인기지만, 180200도 고온으로 2030분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럴 때에도 상당한 전력이 소모됩니다.

Tip: 음식의 양을 나눠서 조리하고, 예열 시간을 줄이며 효율적인 시간 관리로 에너지 낭비를 줄여야 합니다.

nekonomemarket
nekonomemarket

전기세를 올리는 대표적인 조리 습관 4 ‘냉장고 문 자주 열기’

‘주방 가전 중 가장 많은 전기를 먹는 기기’가 바로 냉장고입니다. 여름철에는 온도가 높아지면서 냉장고는 평소보다 더 많은 냉기를 생성해야 하고, 이때 냉장고 문을 자주 열면 안에 온도가 상승하면서 과도한 전력 소비가 발생합니다.

특히 요리하면서 필요한 재료를 하나씩 꺼내기 위해 냉장고를 계속 여닫는 습관은 큰 전력 낭비로 이어집니다. 요리를 시작하기 전 필요한 재료는 미리 꺼내 준비해두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nekonomemarket
nekonomemarket

음식 습관이 전기세까지 좌우합니다

단순히 선풍기만으로 전기세가 폭탄처럼 나올 일은 거의 없습니다. 진짜 원인은 주방에서의 습관적인 전력 낭비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전기 조리기구, 냉동식품 조리 방식, 보온 습관까지 이 모든 요소가 합쳐져서 전체 전기 요금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올여름 전기세 걱정 없이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고 싶다면, 조리 습관을 점검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선풍기처럼 눈에 보이는 사용시간보다, 식탁 위 반찬 하나를 만들기 위해 어떤 전기 기기가 작동했는지 되돌아보는 것이 훨씬 중요할 수 있습니다.

습관을 조금만 바꿔도 전기요금도, 건강도 함께 챙길 수 있다는 사실, 기억해두셔도 좋겠습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건강의 모든것
CP-2025-0003@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팰리세이드 긴장해야겠네"…연비까지 잡은 풀사이즈 SUV 출시
  • 국내 여행 세종 조치원 가볼 만한 곳 조치원 문화정원
  • 이혼한 전남편의 친구와 결혼한 여배우의 사연
  • 시상식에서 상받고 알려지지 않은 가족사 밝혀 모두를 울린 신인 배우
  • 최초 공개된 김혜자의 미모의 손녀의 깜짝 놀랄 정체
  • "한국 방산의 새로운 역사" 최대 9조원 규모 폴란드에 '이것' 수출 계약 체결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윤석열은 왜 구치소에서 ‘속옷’ 차으로 바닥에 누웠나?
    윤석열은 왜 구치소에서 ‘속옷’ 차으로 바닥에 누웠나?
  • 지금의 라면이 2007년 이후 더 맛이 없어진 이유…’이게’ 없다
    지금의 라면이 2007년 이후 더 맛이 없어진 이유…’이게’ 없다
  •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 “벤츠 전기차 실패 인정” 최대 2천만원 인하… 전략 수정 불가피
    “벤츠 전기차 실패 인정” 최대 2천만원 인하… 전략 수정 불가피
  •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윤석열은 왜 구치소에서 ‘속옷’ 차으로 바닥에 누웠나?
    윤석열은 왜 구치소에서 ‘속옷’ 차으로 바닥에 누웠나?
  • 지금의 라면이 2007년 이후 더 맛이 없어진 이유…’이게’ 없다
    지금의 라면이 2007년 이후 더 맛이 없어진 이유…’이게’ 없다
  •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 “벤츠 전기차 실패 인정” 최대 2천만원 인하… 전략 수정 불가피
    “벤츠 전기차 실패 인정” 최대 2천만원 인하… 전략 수정 불가피
  •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