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콰이어. [사진=토요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8ca1b12c-e125-4b04-a079-95cbfb79ada1.jpeg)
토요타가 플래그십 SUV 라인업 강화를 위해 2026년형 세콰이어를 새롭게 선보였다. 중간 단계의 연식 변경임에도 전동 접이식 3열 시트 기본화와 고급 내장재 확대 적용을 통해 상품성 전반이 향상됐다.
최근 토요타는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2026년형 세콰이어를 공식 공개했다. 세콰이어는 픽업트럭 툰드라를 기반으로 하는 보디 온 프레임 구조의 대형 SUV로, 현재까지 국내 출시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렉서스 LX와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하는 만큼 국내 도입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번 연식변경의 핵심은 실내 구성을 중심으로 한 고급화다. 전 트림에는 전동 접이식 3열 시트가 기본 적용되며, 중상위 트림부터는 천연 가죽 시트와 상하체 마사지 기능이 탑재된 전동 시트가 제공된다. 특히 캡스톤 트림은 쉐일 프리미엄 가죽을 새롭게 적용해 실내 고급감을 한층 끌어올렸다.
![세콰이어. [사진=토요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ac35bbe8-d919-4e00-8f07-5a532da634ae.jpeg)
외관에서는 오프로드 지향의 TRD 프로 트림에만 한정 적용되는 웨이브 메이커 블루 색상이 새롭게 추가됐다. 이 컬러는 토요타의 TRD 프로 라인업에서 매년 한정 적용되는 시그니처 외장색으로, 타코마·툰드라·4러너 등과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한다.
세콰이어는 TNGA-F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이는 툰드라는 물론 렉서스 LX와도 동일한 구조다. 대형 SUV 특유의 강성 구조와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며 최대 4318kg의 견인력을 제공해 레저와 실사용 모두에 강점을 지닌다.
파워트레인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3.4리터 V6 트윈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탑재되며, 최고출력은 437마력, 최대토크는 약 80.6kg·m에 달한다. 10단 자동 변속기와 결합돼 대형 SUV에서도 강력한 가속과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한다.
![세콰이어. [사진=토요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6fe1964a-83b7-4d0b-b36c-9b423bb30904.jpeg)
연비는 미국 기준 9.3km/L로 풀사이즈 SUV 가운데서는 우수한 연료 효율을 보인다. 전기모터가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다.
실내 트림 변화도 주목할 부분이다. 리미티드 트림은 기존 소프트텍스 인조 가죽을 천연 소가죽으로 교체하며 선택의 폭을 넓혔다. 블랙 또는 그레이 가죽은 화이트 또는 블랙 스티치로 마감되어 세련미를 강조한다.
상위 트림에는 10방향 조절 전동 시트와 함께 마사지 기능이 기본 제공된다. 운전 중에도 작동 가능한 이 기능은 장거리 운전에서 피로를 줄여주며 럭셔리 SUV다운 체감 품질을 제공한다.
![세콰이어. [사진=토요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2dd40be2-6deb-424b-b7ac-908736c5d0b1.jpeg)
최상위 캡스톤 트림은 실내 전반에 쉐일 톤을 적용하고, 브라운과 그레이 우드 트림 조화를 통해 한층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구현했다. 캡스톤 로고가 새겨진 시트와 디테일 요소도 차별화 포인트다.
가격은 기본형 SR5 기준 6만6120달러(약 9252만원)부터 시작하며, 리미티드는 약 9930만원, 캡스톤은 1억1900만원 수준이다.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트림별 업그레이드를 고려하면 경쟁력 있는 책정으로 평가된다.
![세콰이어. [사진=토요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165/image-872121db-952f-4855-bbeb-78cb02401c96.jpeg)
사륜구동 시스템은 TRD 프로, 캡스톤 등 일부 트림에 기본 적용되며 나머지 트림은 3천달러(약 419만원)를 추가해 선택 가능하다. 오프로드 중심 고객층과 실사용 위주의 소비자를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다.
토요타코리아는 아직까지 세콰이어의 국내 출시 여부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동일 플랫폼을 사용하는 렉서스 LX가 국내 시장에 안착한 만큼 소비자 관심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플래그십 SUV 시장에서 점차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세콰이어는 대형 SUV 본연의 강인함과 고급 사양을 양립시키며 존재감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다. 국내 출시 여부에 따라 현대차 팰리세이드, 기아 모하비와의 경쟁 구도도 다시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