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남 매물 폭증이 몰고 온 쓰나미… 경기 부동산이 초토화된 진짜 이유
서울 강남 일대에서 시작된 매물 증가가 경기 전역 부동산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강남구, 서초구 등 이른바 ‘핵심 지역’의 매물이 급증하면서, 수도권 매수 심리가 연쇄적으로 얼어붙은 것이다.
그 여파로 경기 지역 아파트 매물이 16만 건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거래 절벽 수준의 침체가 벌어지고 있다. 매물은 쏟아지는데 매수세는 실종된 상황. 서울발 매물 쓰나미가 경기 부동산을 뒤덮고 있다.
📌 서울과 맞닿은 지역일수록 충격이 더 크다. ‘하락 전이’는 현실이 됐다.

📉 대출 규제의 ‘압력’… 강남만 눌렀는데 주변까지 눌렸다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가 시장을 짓눌렀다. 스트레스 DSR 2단계 도입, 다주택자 대출 중단,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 등 일련의 조치들이 겹치며 중저가 수요 중심의 경기권이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수도권 디딤돌대출 최대 4,800만 원 축소가 시행되자, 실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자체가 어려워졌고 이는 거래량 급감으로 이어졌다. 정부의 의도와 달리 시장에선 규제가 수요를 마비시킨다는 반발이 커지고 있다.
📌 “돈을 빌릴 수 없으니 사지도 못 한다”는 냉담한 현실이 퍼지고 있다.

📊 거래는 끊기고, 매물은 쌓이고… 불균형의 악순환
경기권의 아파트 월간 거래량은 올해 3월 1만 건에서 9월엔 8,000건대로 급감했다. 거래가 줄자 매물은 더 늘어났다. 2023년 대비 33% 이상 증가한 16만 5,000건의 매물이 시장에 풀려 있는 상황이다.
과천시는 3개월 사이 매물이 15.5% 증가했고, 성남 중원구, 수원 팔달구도 각각 18%, 16% 상승했다. ‘팔리면 다행’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시장 전체가 얼어붙는 중이다.
📌 거래 절벽과 매물 폭증은 함께 오며, 지역 간 전이 효과를 증폭시킨다.

🌐 서울 강남·서초 매물 30% 증가… 수도권 전체 ‘냉기 확산’
서울도 예외가 아니다. 강남구, 서초구는 작년 말 대비 매물이 30% 넘게 늘었고, 서울 전체 매물도 9만 건을 돌파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른바 ‘핵심지’에서 집이 팔리지 않자, 경기 평택(11,802건), 남양주(9,491건) 등 접경 지역도 동반 침체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서울 핵심지가 흔들릴 경우 주변 지역은 가격 하락과 거래 실종이 동시에 벌어지는 구조”라며, 수도권 전역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 핵심 지역의 신호는 결국 주변 시장을 뒤흔드는 ‘도미노’가 된다.

🏗 공급 압박과 전세 리스크까지… 이중 삼중 구조적 문제
올해 경기 지역에는 14만 가구 넘는 아파트가 새로 공급될 예정이다. 분양 대기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의 공급 증가는 가격 하방 압력을 키운다. 여기에 갭투자 리스크도 겹쳤다.
화성, 수원, 인천 등지에서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며 최근 3개월간 30~50건 이상 갭투자가 발생했다. 전세 수요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이 물량이 매도로 전환될 경우, 추가 하락 압력은 피할 수 없다.
📌 거래 절벽 + 매물 증가 + 전세불안 = 침체 장기화의 삼각구도다.

🔍 “2025년까지는 쉽지 않다”… 매물 소화 관건은 ‘금리와 정책’
전문가들은 당분간 경기권 매물 소화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본다. 고금리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정부의 정책적 완화 신호도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내수경기 둔화와 실물소득 하락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매수층이 다시 살아나기 위해선 추가적인 정책 지원과 금리 하향 안정이 병행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금은 집을 사고 싶어도 못 사는 ‘수요 실종기’에 가깝다.
📌 공급을 늘리기 전에, 시장에 숨통을 틔울 ‘수요 회복’이 더 절실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