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겉으론 친절한데 왠지 모르게 지치고 불편할 때가 있다. 분명 호의를 베풀었을 뿐인데, 상대는 점점 더 많은 걸 요구한다.
이런 관계는 말로 표현되지 않지만, 묘하게 기울어져 있다. 그 사람은 당신을 ‘사람’이 아니라 ‘도구’처럼 쓰고 있는지도 모른다.

1. 필요할 때만 연락한다
평소에는 안부 한마디 없다가, 도움이 필요할 때만 갑자기 연락이 온다. “혹시 이것 좀 도와줄 수 있을까?” “시간 괜찮으면 이것 좀 부탁해” 같은 말이 반복된다.
대화가 아니라 ‘요청’으로 시작된다면, 이미 관계의 균형은 무너진 상태다.

2. 대가 없는 호의를 당연하게 여긴다
도움을 줘도 감사 인사는커녕, 마치 ‘당연한 일’처럼 넘어간다. 고마움보다는 “이번에도 해줄 수 있지?”라는 뉘앙스가 강하다.
상대가 당신의 시간을 ‘자원’처럼 여긴다면, 그 관계는 이미 이용의 형태를 띠고 있다.

3. 나의 상황은 관심 없고, 본인 이야기만 한다
당신의 고충이나 일정에는 관심이 없고, 항상 본인의 사정만 말한다. “내가 지금 얼마나 바쁜지 알아?”라는 말로 감정을 눌러버리고, 당신의 말은 끊거나 무시한다.
이런 사람은 도움을 ‘교류’가 아닌 ‘전제 조건’처럼 여긴다.

4. 부탁을 거절하면 태도가 확 변한다
한두 번 거절하면 연락이 뚝 끊기거나, 미묘하게 차가운 반응이 돌아온다. 관계의 핵심이 ‘당신 자체’가 아니라 ‘당신이 해줄 수 있는 것’이었다는 증거다.
진짜 관계라면, 거절 하나에 흔들리지 않는다.

누군가에게 반복적으로 지치고 불편하다면, 그건 우연이 아니다. 은근한 이용은 티 나지 않게 오래 지속된다.
상대를 바꾸긴 어렵지만, 경계를 세우는 건 내 몫이다. 친절함을 지키되, 이용당하지 않는 거리도 필요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