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원장 미기재)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팀이 단일공(single port) 로봇을 이용한 생체 신장이식 수술을 안정적으로 시행하며, 아시아 최초로 성공 사례를 기록했다. 지난 2월 기증자 신장 적출 수술을 단일공 로봇으로 성공적으로 마친 데 이어, 3월에는 수혜자에게도 동일한 방식으로 생체 신장이식을 시행했다. 이로써 단일공 로봇을 활용한 기증자·수혜자 모두의 수술 성공 사례는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다.
단일공 로봇 수술은 한 곳만 절개하는 최소 침습 수술법으로, 기증자는 배꼽 부위 약 3~4cm, 수혜자는 하복부 약 6cm의 절개만으로 수술을 진행한다. 이는 기존 개복 수술에 비해 절개 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여 통증과 회복 부담을 최소화한다. 특히 수혜자 수술에서는 신장 동·정맥과 요관을 제한된 공간에서 정밀하게 연결하고, 혈류 재개 직후 발생할 수 있는 미세 출혈까지 신속히 제어해야 해 고도의 숙련도와 표준화된 수술 절차가 필수적이다.
기존 신장이식 수술은 개복, 복강경, 다공 로봇 방식이 주로 사용돼 왔다. 개복 수술은 약 20cm 이상의 절개가 필요해 흉터와 회복 부담이 크고, 복강경·다공 로봇 수술은 절개 범위는 줄었지만 복부 여러 부위를 절개해야 했다. 반면 단일공 로봇 수술은 기증자와 수혜자 모두 절개 한 곳만으로 수술이 가능해 미용적 이점과 환자 만족도가 높다.
서울대병원은 현재까지 총 10건(기증자 5건, 수혜자 5건)의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을 진행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52세 여성 환자가 배뇨 역류 신병증으로 말기 신부전에 이르러 24세 아들이 기증자로 나섰다. 기증자는 배꼽 부위 3~4cm의 흉터만 남기고 수술 후 3일 만에 퇴원했고, 수혜자는 하복부 6cm 흉터만 남기고 7일 만에 퇴원했다. 수혜자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수술 전 10.7mg/dL에서 수술 후 0.76mg/dL로 정상화되었으며, 현재까지 안정적인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낭성 신장 질환, IgA 신병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들이 단일공 로봇 수술을 통해 빠른 회복과 높은 미용적 만족도를 경험했다. 절개와 통증 부담이 줄어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기존 개복 수술이 부담스러웠던 고위험군과 고령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하종원 교수는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절개를 최소화해 환자의 회복 속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수술법”이라며 “다만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므로, 충분한 상담과 개별 상태 평가를 거쳐 최적의 수술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은 이식혈관외과를 중심으로 신장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로봇수술센터 등 관련 진료과와 협력하는 다학제 진료 체계를 통해 고난도 수술에서도 높은 안전성과 완성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림] 수술 방법에 따른 기증자(신장 적출) 및 수혜자(신장이식) 절개 위치 비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3-0441/image-46e502d7-2997-457a-9420-e3d20db0b2b4.jpeg)
![[사진] ‘다빈치 SP’를 활용한 단일공 로봇 신장이식 수술 장면. 왼쪽은 수술실 내부, 오른쪽은 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가 콘솔에서 수술을 집도하는 모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3-0441/image-00e69b10-ccf0-461e-97bd-5e47dfe11a1a.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