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갑상선저하증 환자는 약 68만 명에 이른다. 이 질환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부족해 신진대사가 저하되면서 발생하며, 피로감·체중 증가·추위 민감·변비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건국대병원 내분비내과 송기호 교수는 “갑상선저하증은 조기 진단 후 호르몬제를 복용하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갑상선저하증 환자가 늘어나는 주요 원인으로는 고령화와 갑상선암·종양 수술 증가가 꼽힌다. 수술로 갑상선을 제거하면 호르몬 분비가 불가능해지고, 일부 표적항암제 사용도 기능 저하에 영향을 준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갑상선 기능이 서서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진단 기준을 젊은 연령대와 동일하게 적용하다 보니 고령층에서 진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대표 증상은 추위를 많이 타고, 얼굴이 푸석해지며, 피로와 체중 증가, 기억력 저하, 변비 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심한 경우 심장에 물이 차거나 의식을 잃는 점액수종 코마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피로감만으로는 갑상선저하증을 단정하기 어렵고, 체중 증가·추위 민감 등 다른 증상과 동반될 때 의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심혈관 질환 위험과도 관련이 있다. 송 교수는 “갑상선저하증 상태에서는 LDL 콜레스테롤이 증가해 동맥경화 및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며 “불현성 저하증 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비교적 단순하다. 하루 한 번 아침 공복에 호르몬제를 복용하면 된다. 약의 반감기가 길어 하루를 빼먹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다음 날 두 알을 복용해 보충할 수 있다. 대부분 평생 복용이 필요하며, 이는 원인인 하시모토 갑상선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이 약물로 완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드물게 염증이 호전돼 중단하는 경우도 있으나 확률은 낮다.
예방은 어렵지만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유전적 요인과 함께 요오드 섭취가 많은 식습관, 여성호르몬 영향 등이 발병 위험을 높인다. 특히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약 5배 많고, 40대 이후 발병률이 증가한다. 송 교수는 “정기 건강검진에 포함된 갑상선 검사만으로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며 “평생 관리가 필요하지만 치료 반응이 좋아 환자의 삶의 질을 충분히 지킬 수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