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강변 주거지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요를 보이고 있다. 조망권과 교통·생활 인프라, 주거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가격이 높아도 매수세가 꾸준하다.
1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서울 한강변에서는 초고가 주택부터 일반 고급 아파트까지 분양 실적이 양호했다. 지난해 분양한 서울 광진구 ‘포제스 한강’은 전용 244㎡ 펜트하우스 2가구를 150억~160억 원대에 공급했으며 평균 청약 경쟁률은 14.5대 1이었다. 강남구 역삼동 ‘더 갤러리 832 시즌2’는 전용 197㎡ 이상 펜트하우스 6가구를 100억 원 이상에 분양해 계약이 완료됐다.
한강 조망권이 있는 단지는 소형 면적도 가격 상승이 나타났다. ‘마포한강아이파크’ 전용 59㎡는 올해 3월 13억1800만 원에, ‘서울숲 아이파크 리버포레 1차’ 같은 면적은 6월 27억 원에 거래됐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한강변 아파트는 주거·환경·교통·문화 인프라가 동시에 집약된 입지로 희소성이 크다”며 “특히 고급 주거상품과 조망권이 결합된 단지는 경기 상황과 무관하게 수요가 꾸준해 분양 흥행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도 한강변 신규 분양 단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9월 예정된 마포구 합정동 ‘라비움 한강’은 최고 38층 규모로, 전용 40~57㎡ 아파트 198가구와 전용 66~210㎡ 오피스텔 65가구로 구성된다. 일부 가구에서 한강 조망이 가능하다.
노량진8구역 재개발 사업 ‘아크로 리버스카이’는 지하 4층~지상 29층, 987가구 규모로 올해 하반기 분양 예정이다. 1·9호선 노량진역과 1호선 대방역이 인접하다.
이외에도 잠원동 신반포 22차 재건축(35층, 160가구), 용산구 한강로3가 용산 아세아 재건축(36층, 997가구) 등이 분양을 준비 중이다. 두 사업 모두 일부 가구에서 한강 조망이 가능하다.
기사 읽기
- 병원에서 소비쿠폰 쓰고 실비로 돌려받으면 ‘현금화 꼼수’일까, 아닐까?
- 광복절 태극기 게양, 우천 시 태극기 다는 법은?
- “점포 추가로 문 닫을 수도” 홈플러스, 인수자 못 찾았다
- 6·27 규제로 집값 바닥 찍었나…하반기 상승세 전망 솔솔
- 대출 규제 여파에 입주 포기 우려 확대…아파트입주전망지수 급락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