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제는 숨만 쉬어도 “매년 수백억씩” 돈 들어온다는 한국 대기업
호찌민에서 차로 두 시간, 배를 타고 30분 더 들어가면 바다 한가운데 서 있는 거대한 풍력 터빈들이 보입니다. 바로 SK이노베이션 E&S가 세운 베트남 탄푸동 해상풍력 발전소입니다. 36기의 4.2메가와트급 터빈이 쉼 없이 바람을 갈라 돌며, 하루 평균 35메가와트시 전기를 생산합니다. 지난해에만 베트남 2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할 만큼의 규모입니다.

💨 바람만 불면 돈, 매년 500억 안정 수익
이 발전소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한 전력 생산이 아닙니다. 생산된 전력을 베트남 국영 전력회사에 고정 가격으로 전부 판매한다는 점입니다. 날씨만 받쳐주면 가격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는 구조라, 매년 약 500억 원 가까운 돈이 자동으로 들어옵니다. 말 그대로 “바람만 불면 돈”이 되는 사업 모델입니다.

🌏 베트남 선택, 글로벌 기업 수요와 맞물리다
SK가 베트남을 택한 이유도 분명합니다. 티엔장 지역은 바람이 세고 꾸준히 불며,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의 36%, 2050년까지 75%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여기에 삼성·애플·인텔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현지 공장을 늘리며 친환경 전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SK는 이들과 전력구매계약(PPA)을 논의 중이며, 올해 안에 첫 계약이 성사될 가능성도 큽니다.

💡 숨은 보석, 탄소배출권까지 챙긴 SK
더 놀라운 건 탄소배출권 수익입니다. 해상풍력으로 생산된 전기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온실가스를 줄였다고 인정받아 배출권이 생깁니다. SK는 프로젝트 초기부터 향후 15년간 배출권을 확보하는 조건까지 챙겼습니다. 매년 약 26만 톤 규모로, 이 역시 현금화 가능한 자산입니다. 단순한 전력 사업을 넘어, 환경 규제 시대에 가장 값진 ‘탄소 없는 전기’를 무기로 잡은 셈입니다.

🚀 베트남에서 글로벌로, 확장하는 해상풍력 판
지금은 1기가와트 규모지만 SK이노베이션 E&S는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동남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까지 진출해 글로벌 재생에너지 기업으로 발돋움하려는 전략입니다. 바다 위에서 바람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고,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동시에 환경까지 살리는 구조. SK가 그리는 미래는 ‘돈 버는 친환경’의 교과서와도 같습니다.

📌 핵심 내용 정리
- SK이노베이션 E&S, 베트남 탄푸동 해상풍력 발전소 운영
- 생산 전력 전량을 국영 전력회사에 고정 가격으로 판매 → 매년 약 500억 안정 수익
- 베트남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 글로벌 기업들의 수요와 맞물린 전략
- 매년 26만 톤 규모 탄소배출권 확보, 추가 수익원 마련
- 현재 1GW 규모에서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확장,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 진출 본격화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