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트럼프 한 명 때문에 “무려 4조 손실” 보게 생긴 삼성의 ‘외통수 정체’

픽 이야기 조회수  


트럼프의 초강력 관세 폭탄, 삼성전자에 4조 원 손실 ‘외통수’ 닥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4월 베트남에 대한 46% 고율 관세 발표가 한국 대기업에 대형 악재로 떠올랐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많은 기업들이 중국 대신 베트남을 신성장 생산기지로 삼아왔기 때문에 충격은 더욱 컸다. 베트남 북부 박닌과 타이응우옌에 위치한 삼성의 스마트폰·태블릿 공장의 월간 생산량은 1,000만 대, 전체 생산의 45%에 달한다. LG전자 또한 하이퐁 공장 중심으로 글로벌 가전제품 수출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베트남 집중생산, 관세로 무너진 전략

베트남은 한국 기업들에게 핵심 거점이었다. 노동비용이 한국의 10분의 1이라는 장점 덕분에 모바일, 전자, 섬유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수출 비중이 매우 높았다. 실제로 베트남 내 한국 기업은 2,600개로, 중국이나 미국보다도 높다. 한 세산업이나 시아노스아메리카 등 주요 기업의 베트남 공장 매출 90%가 미국 시장에서 발생하는 만큼, 트럼프 관세 폭탄의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삼성전자, 최대 4조 원의 손실 위기

트럼프 행정부가 베트남산 스마트폰 등 미국 수출품에 46% 관세를 부과하자, 삼성전자는 외통수에 걸릴 수밖에 없다. 증권업계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관세 부담을 모두 떠안을 경우, 최대 4조 원(27억 달러) 손실, 이는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33%에 해당하는 대형 악재다. LG전자 역시 가전사업에서 상당한 부담을 지게 된다.

특히 트럼프의 관세가 중국(34%), 태국(37%), 한국(25%), 인도(27%)보다 베트남에 더 높게 적용돼 미중 무역갈등 대안으로 추진해온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이 무력화됐다.


현실적인 대응책과 생산기지 이동 논의

삼성과 LG는 당장 베트남 공장을 미국·멕시코·캐나다로 옮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 부담이 불가피해진 만큼, 미국 내 생산 확대, 멕시코·캐나다로의 일부 생산기지 이전을 모색할 것이며,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지역은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중장기적으로 일부 생산 공장이 그쪽으로 옮겨갈 수도 있다. 한국 정부도 베트남 진출 기업들과 협의하며, 베트남 정부와 관세 완화나 무역 조건 조정 등 협상 가능성을 타진 중이다.


베트남 수출 의존, 중장기 경쟁력에 변수

베트남과 미국 간 무역 협상이 일부 관세 인하로 이어진다고 해도, 단기적으로는 베트남 공장에서의 주문량 감소, 생산량 축소, 한국 중간재 수출 감소 등 부정적 파급 효과가 클 전망이다. 이는 한국 제조업 수익 감소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구조적 도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트럼프의 폭넓은 무역 제재는 기업들의 해외 생산 전략 자체에 불확실성을 키웠고, 차이나 플러스 전략이 약화된 상황에서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 변화는 한동안 지속적인 변수로 남을 전망이다. 업계에서도 “수출규제와 관세 제도에 따라 기업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단기 충격과 미래 전망

삼성전자는 이번 사태 전 재고를 상당 부분 비축했고, 2025년 1분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어 단기적 충격은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북미 정책 변화와 관세 정책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도전을 던지고 있을 뿐 아니라, 베트남 등 기존 생산기지 중심 전략의 재검토가 필수불가결해진 실정이다.

결국 글로벌 무역전쟁, 최대 시장인 미국을 둘러싼 트럼프의 ‘외통수 제재’로 인해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대기업들의 미래 전략은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올랐다. 향후 국내 기업들이 어떻게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와 관세 변수에 대응할지, 그 선택이 앞으로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이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픽 이야기
CP-2025-0135@fastviewkorea.com

댓글2

300

댓글2

  • 베트남 관세,

    20%

  • 베트남 관세는...

    46% 에서 20%로 조정되었잖아요..??!

[AI 추천] 랭킹 뉴스

  • 지오♥최예슬, 결혼 6년 차, 아직도 연애 8주년 챙겨요
  • 확성기 철거하더니 ''군사분계선 침범한'' 북한군에게 10발 쏜 한국군
  • 서울 가는데 10분이면 충분해서 "갑자기 집 값 5천만원이나 올라버린" 이 지역
  • 늦은 나이에 갑자기 결혼한다 발표 했더니 "60억 신혼 집을 현금으로 산" 연예인
  • '19살 아들 맘'의 위엄…오윤아, 세월도 비껴간 '마네킹 복근'
  • 메르세데스-벤츠, BMW 엔진 단 '이색 제휴' 추진... 2027년부터 본격 도입?

당신을 위한 인기글

  • 尹 재임시절 대통령실에 매주 1톤 탑차가 배달한 尹이 좋아한 ‘이것’들
    尹 재임시절 대통령실에 매주 1톤 탑차가 배달한 尹이 좋아한 ‘이것’들
  • 고깃집 알바하다 스카웃 되어 아시아 최고의 치어리더된 한국 여고생
    고깃집 알바하다 스카웃 되어 아시아 최고의 치어리더된 한국 여고생
  • 돈 많다고 자신하더니…돈 떨어진 사우디가 한국에게 넘기려는 국제 행사
    돈 많다고 자신하더니…돈 떨어진 사우디가 한국에게 넘기려는 국제 행사
  • 5·18민주화운동 北개입설 계속 주장한 지만원…결국 크게 망했다
    5·18민주화운동 北개입설 계속 주장한 지만원…결국 크게 망했다
  •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당신을 위한 인기글

  • 尹 재임시절 대통령실에 매주 1톤 탑차가 배달한 尹이 좋아한 ‘이것’들
    尹 재임시절 대통령실에 매주 1톤 탑차가 배달한 尹이 좋아한 ‘이것’들
  • 고깃집 알바하다 스카웃 되어 아시아 최고의 치어리더된 한국 여고생
    고깃집 알바하다 스카웃 되어 아시아 최고의 치어리더된 한국 여고생
  • 돈 많다고 자신하더니…돈 떨어진 사우디가 한국에게 넘기려는 국제 행사
    돈 많다고 자신하더니…돈 떨어진 사우디가 한국에게 넘기려는 국제 행사
  • 5·18민주화운동 北개입설 계속 주장한 지만원…결국 크게 망했다
    5·18민주화운동 北개입설 계속 주장한 지만원…결국 크게 망했다
  •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