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송환 요청, 김정은 반대로 6명 ‘비전향 장기수’ 대기 중
최근 생존 중인 비전향 장기수 6명이 한국 정부에 북한 송환을 공식 요청한 사실이 알려지며, 남북 관계의 뿌리 깊은 현실과 “송환 거부”의 정치적 경계가 또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통일부에 따르면 양원진(96), 안학섭(95), 박수분(94), 양희철(91), 김영식(91), 이광근(80) 등 생존 비전향 장기수들이 정부에 북송을 요구했다.

25년 만의 송환 요구, 절차 진행 중 현실의 벽
비전향 장기수 송환은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 이후 판문점을 통해 63명이 북으로 돌아간 것이 마지막 사례였다. 그러나 이후에는 송환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안학섭 씨는 1953년 체포 후 국방경비법(이적죄)로 42년 복역 뒤 1995년 출소했으며, 2000년에는 송환 대상이었으나 “미군 철수 후에만 송환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6명은 “제네바협약에 따라 판문점 통과 송환을 촉구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비쳤으며, 안씨 측은 임진각 출발 후 판문점 이동 내역, 대북 통보, 유엔군 협의 등 송환 절차 협조를 정부에 요청한 상태다.

통일부와 북한의 이해관계 충돌
통일부는 이들의 요구를 인지하고 있지만, “송환 추진 여부는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사실상 실제 송환 성사가 어렵다는 뜻에 가깝다. 남북 당국 간 송환 합의가 이뤄져야 실질적 이행이 가능한데, 최근 25년간 북한은 추가 송환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정은 정권의 북송 반대 기조는 6명 비전향 장기수의 대기 상황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정치적 상징과 내외부 관리 문제, 남북관계 흔들림에 대한 우려 등 복합 처지 때문이다.

과거와 달라진 송환 배경
김대중 정부 시절 정상회담을 계기로 대규모 송환이 가능했던 것은 남북 화해와 공식적인 합의가 배경에 있었다. 지금은 한반도 긴장과 정치적 불신이 격화되며, 인도주의적 차원에서의 송환 요구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정책 결정은 지체되는 것이 현실이다.
북한은 송환 대상자 관리, 국내 정치 효과, 남북 협상에서의 전략적 ‘주도권’ 확보 문제 등으로 공식적 송환 수용에 난색을 표시해왔다. 남한 정부 역시 정치적 부담, 국내외 여론, 유엔군사령부 등 절차상의 문제로 손쉽게 결론 내릴 수 없는 입장이다.

6명 장기수의 북한 송환 요구, 남북 현실의 또 다른 벽
현재 비전향 장기수 6명의 송환은 공식 요청 이후에도 김정은의 거부 기조, 남북 간 복잡한 정치·협상 환경 등으로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25년 전 대규모 송환과 달리, 실질적 합의와 정책 전환이 없는 이상 이들의 ‘대기 상태’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비전향 장기수 문제는 남북관계와 한반도 인권·정치의 미묘한 경계에 놓여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