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 냉장고에 넣으면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감자는 오래 두고 먹기 위해 대부분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습도와 온도가 낮으니 안전할 것 같고, 다른 채소들과 함께 야채칸에 넣어두는 일이 일상입니다. 하지만 이 습관이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감자는 냉장 보관에 적합하지 않은 대표적인 채소이며, 특히 저온 환경에서 특정 화학 반응을 일으켜 독성 물질인 솔라닌(solamine)과 아크릴아마이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겉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냉장고에 감자를 장시간 두는 것은 무심코 독을 키우는 셈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냉장고에 감자가 들어 있다면, 상태를 점검하고 즉시 꺼내 실온으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저온에서 전분이 당으로 바뀝니다
감자의 전분은 차가운 환경에서 쉽게 당분(포도당, 과당)으로 전환됩니다. 이를 ‘감자의 감미화’라고 부르며, 냉장고처럼 섭씨 4도 이하의 저온에서 보관할 때 빠르게 진행됩니다. 이 당화된 감자는 요리할 때 특히 문제가 됩니다.
고온에서 조리하면 당분이 아미노산과 반응하면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유해 물질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한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즉, 냉장 보관된 감자를 굽거나 튀기면, 더 많은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되어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솔라닌은 적은 양도 위험합니다
감자에는 원래부터 미량의 천연 독성 성분인 솔라닌(solamine)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싹이 트거나 껍질이 녹색으로 변한 감자는 솔라닌 함량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냉장고에 감자를 보관하면 껍질에 습기가 생기고 스트레스를 받아 싹이 더 빨리 자라며, 이 과정에서 솔라닌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솔라닌은 두통,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더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삶거나 굽는다고 해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감자의 싹과 녹색 껍질은 반드시 제거해야 하며, 그 자체로 섭취를 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실온, 건조, 어두운 곳이 감자 보관의 기본입니다
감자는 냉장고보다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어두운 장소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이상적인 보관 온도는 섭씨 7~10도로,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않은 공간이 가장 좋습니다. 베란다, 창고, 찬장 등 외부 빛이 들지 않고 공기가 순환되는 곳이 적절한 장소입니다.
감자는 종이봉투나 망에 담아 공기 순환이 되도록 보관하고, 주변에 사과 같은 에틸렌 가스 발생 식품을 함께 두면 싹이 나는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또한 물기가 닿지 않도록 하고, 습기를 흡수하는 신문지나 키친타월을 함께 넣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냉장 보관한 감자는 조리 방식도 바꿔야 합니다
이미 냉장 보관한 감자를 버리기는 아깝고, 먹어야 한다면 조리 방식에 주의해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튀기거나 굽지 말고, 삶거나 찌는 것입니다. 삶거나 찌는 과정은 조리 온도가 100도 내외로 유지되기 때문에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가능성이 줄어들며, 솔라닌의 일부는 물에 녹아 배출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완전한 제거는 어렵기 때문에, 싹이 난 부분이나 녹색 껍질은 칼로 깊게 제거하고, 상태가 나쁜 감자는 과감히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냉장 보관된 감자는 조리용보다는 즉시 섭취 가능한 용도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냉장고 정리의 첫 단계는 감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냉장고 속 내용물을 정리하면서 유통기한이나 상한 음식만 버립니다. 하지만 냉장고에 잘못 들어가 있는 식재료도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감자는 그 대표적인 예이며, 잘못된 저장법이 장기적으로는 식중독, 독성물질 노출, 영양소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냉장고 속에 감자가 들어 있다면, 오늘 바로 꺼내 실온으로 옮기고 상태를 점검하세요. 보관 장소를 바꾸는 작은 행동 하나가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반복했던 습관이 건강을 위협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