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타크루즈 전측면부.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200/image-4b64d4d3-c4af-45f7-a240-7f1ec7021bcf.jpeg)
현대차그룹이 미국 시장에서 누적 판매량 3천만대를 돌파하며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더욱 확고히 했다. 미국 진출 39년 만에 달성한 기록으로 도요타와 혼다 등 일본 경쟁 브랜드를 제친 가장 빠른 성장 사례로 평가된다.
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1986년 미국 시장 진출 이후 올해 7월까지 총 3천10만7257대를 판매했다. 이 가운데 현대차가 1755만2003대, 기아가 1255만5254대를 기록하며 현지 누적 판매 3천만대를 넘어섰다.
![하이랜더 전측면부. [사진=토요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200/image-3476f21f-7831-46a3-8a8f-7206b9fd7cb9.jpeg)
일본 경쟁사보다 빠른 성장
현대차그룹의 3천만대 달성 속도는 일본 경쟁사보다 월등히 빨랐다. 도요타는 1958년 진출 후 54년 만인 2012년에야 3천만대 판매를 기록했고 혼다는 1970년 진출 후 47년 만인 2017년에 도달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보다 8~15년이나 빠르게 기록을 세우며 글로벌 완성차 3강 반열에 올랐다.
미국에 처음 수출한 차량은 1986년 울산공장에서 생산된 소형 세단 엑셀이었다. 기아는 1992년 현지 판매 법인을 설립하고 1994년 세피아와 스포티지 판매를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었다.
![아이오닉 9 전측면부.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200/image-c81e6749-1f79-4644-b027-8b244a0ac099.jpeg)
누적 판매 1천만대 이후 가파른 성장
현대차그룹은 1990년 누적 100만대를 달성했고 2004년 500만대, 2011년 1천만대를 넘어섰다. 이후 매년 120만~140만대 수준의 판매를 유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고 2018년에는 2천만대를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연간 170만8293대를 판매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초기 1천만대까지 25년이 걸렸지만 이후 1천만대는 7년 만에 달성하며 가속화된 성장세를 입증했다.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입지는 이미 글로벌 톱티어 반열에 오른 셈이다.
![충전 중인 아이오닉 5 N. [사진=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200/image-3710331b-0135-46dc-93ae-315cfebfeb62.jpeg)
현지 생산 기지 확대가 성장 발판
빠른 성장은 조기 현지 생산 전략 덕분이라는 평가다. 현대차는 2005년 앨라배마주에 첫 공장을 가동했고 기아는 2010년 조지아주에 공장을 세웠다. 여기에 지난해 조지아주 엘라벨 지역에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하며 현지 100만대 생산 체제를 완성했다.
현지 생산 확대는 단순한 물량 공급을 넘어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한미 FTA 체계에서 무관세 혜택을 누리던 현대차그룹은 최근 15% 관세 부과 가능성에 맞춰 생산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GV80 전측면부. [사진=제네시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200/image-cbdc0ba4-d119-46cf-a62b-63d672f859d2.jpeg)
친환경차·제네시스로 점유율 확대
현대차그룹은 앞으로 친환경차와 제네시스 브랜드를 중심으로 점유율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올해 2분기 처음으로 글로벌 20%를 넘었다.
기아는 미국 시장 점유율을 상반기 5.1%에서 6%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제네시스 브랜드 역시 미국 고급차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며 수익성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EV9 측면부. [사진=기아]](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5-0200/image-a9aa6e96-e385-4cb1-8da3-f9decbb36ac7.jpeg)
3천만대 기록 이후 전망
현대차그룹은 3천만대 돌파를 계기로 미국 내 브랜드 신뢰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 완성차 시장은 포드·GM 등 토종 브랜드가 주도하는 만큼 비토종 브랜드가 3천만대 이상을 판매한 사례는 도요타와 혼다에 이어 세 번째다.
앞으로의 과제는 현지 전동화 전략과 관세 대응이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의 아이오닉 시리즈와 EV9, 기아 EV5·EV9 등을 앞세워 전동화 흐름에 발맞추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공략은 이제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향하고 있다. 현지 공장 가동률과 친환경차 판매를 극대화하며 글로벌 3강 체제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