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포트 내부에 하얀 가루 생기는 진짜 이유
집에서 차를 끓이거나 라면, 커피, 분유 등을 준비할 때 가장 자주 쓰는 주방 가전 중 하나가 바로 전기포트입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몇 분 안에 물이 끓어 편리하지요. 하지만 전기포트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물을 비운 뒤 내부에 하얀 가루 같은 이물질이 남아 있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가루처럼 보여도, 혹시 몸에 해로운 건 아닐까 걱정되기도 하지요.
사실 이 하얀 가루는 대부분 물 속에 녹아 있던 칼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 성분이 열에 의해 가라앉아 생기는 것입니다. 일명 물때(석회질)라고도 부르는데요. 무해하다고는 하지만, 방치하면 전기포트 성능이 떨어지고, 물 맛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기포트 내부에 하얀 가루가 생기는 진짜 이유와 함께, 주방 속 음식 재료를 활용해 이를 말끔히 제거하고 예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수(硬水) 사용 – 수돗물이나 지하수에는 칼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이 들어 있습니다.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수분은 증발하고 미네랄 성분이 남아 포트 내부 벽면이나 바닥에 붙게 됩니다.
반복 가열 – 매일 여러 번 물을 끓이다 보면 남은 미네랄이 점점 쌓여 두꺼운 하얀 막이 형성됩니다.
청소 소홀 – 사용 후 물을 완전히 비우지 않고 남겨두면, 물 속 성분이 침전되어 더 빨리 하얀 가루가 생깁니다.

하얀 가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전기포트에 생긴 하얀 가루는 기본적으로 물 속 미네랄 성분이기 때문에 소량 섭취한다고 해서 건강에 직접적인 문제를 일으키진 않습니다. 그러나 장기간 방치하면 문제는 달라집니다.
물 맛이 탁해지고, 차나 커피의 풍미를 해칩니다.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전기포트의 가열 효율이 떨어져 전기 요금도 늘어납니다. 따라서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청소가 필수입니다.

전기포트 청소하는 방법
전용 세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주방에 늘 있는 음식 재료들만 있으면 충분히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식초 – 강력한 석회질 제거
2.레몬 – 산뜻한 세정 효과
3. 베이킹소다 – 탈취와 세균 억제
4. 감자 껍질 – 친환경 청소법

전기포트 관리 루틴
사용 후에는 반드시 물을 완전히 비우고 뚜껑을 열어 건조합니다. 일주일에 한 번은 식초나 레몬물로 청소합니다. 석회질이 많이 쌓였다면 베이킹소다 + 식초를 함께 활용합니다. 청소 후에는 반드시 맑은 물로 여러 번 끓여 세정제를 완전히 제거합니다.

매일 사용하는 전기포트, 그냥 물만 끓이는 기계라 방치하기 쉽지만, 작은 관리 습관만으로도 훨씬 오래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얀 가루가 보인다면 걱정만 하지 마시고, 오늘 알려드린 식초 한 방울, 레몬 조각, 베이킹소다, 쌀뜨물, 감자 껍질을 활용해 보세요. 전기포트가 새것처럼 깨끗해지고, 끓인 물 맛도 훨씬 깔끔해질 겁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