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자살사망자, 평균 4.3개 복합 스트레스 경험

위메이크뉴스 조회수  

자살사망자는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student-5752322_640 (1).png
일러스트=픽사베이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이 최근 9년간(2015~2023년) 진행한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다.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가족 또는 지인의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하여 자살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방법이다. 분석 대상은 유족 1,262명으로부터 얻은 자살사망자 1,099명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 자료이다.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청년기(34세 이하)는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실업자 비율과 구직으로 인한 직업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높았다. 장년기(35~49세)는 직업과 경제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생애주기 중 가장 높았고, 세부적으로는 직장동료 관계문제, 사업부진 및 실패, 부채 등이 높았다. 

중년기(50~64세)는 실업자 비율이 청년기 다음으로 높았고 퇴직/은퇴/실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정신건강 스트레스 경험비율이 높았다. 노년기(65세 이상)는 다른 생애주기보다 대인관계 단절 비율이 높았으며, 만성질병으로 인한 신체건강 스트레스, 우울장애 추정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자살사망자의 96.6%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으나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8%에 불과했다. 경고신호를 드러낸 시기를 분석한 결과 사망 1개월 이내의 경우 감정상태 변화(19.1%)와 주변정리(14.0%)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망 1년 이상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98.9%는 사별 후 심리/행동(97.6%), 대인관계(62.9%), 신체건강(56.5%), 가족관계(52.2%) 등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심한 우울(20.0%), 임상적 불면증(33.1%), 복합비탄(37.8%), 자살사고(思考, 56.3%)와 같은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이 있었다.

면담에 참여한 유족은 고인에 대해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면담 과정에서 심리적 위안과 지지를 받으며 치료 서비스에 연계된 점에 만족하였다.

1인 가구의 자살사망 특성을 살펴보면, 청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43.8%로 다인 가구 청년기 비율(28.0%)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자택 내 사망 비율이 69.0%로 다인 가구(53.2%)보다 높았으며, 다인 가구가 가족(52.1%)에 의한 최초발견이 높았던 것과 달리, 1인 가구는 가족(25.6%), 경찰 및 소방(25.1%), 지인(24.6%)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1인 가구의 비정규직 비율(43.7%)은 다인 가구(29.7%)보다 높았으며, 지속적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비율(15.3%)이 다인 가구(8.7%)보다 높아 1인 가구의 상당수는 고용불안정과 낮은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보건복지부 이형훈 정신건강정책관은 “심리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위험 요인을 향후 자살예방 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겠다”라며, “올해 7월부터 의무화된 자살예방교육에 자살위험 경고신호를 파악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라고 밝혔다. 

또한 “자살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황태연 이사장은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는 경고신호, 주요 스트레스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라며 “이번 1인 가구 분석과 같은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활용한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가 활성화되고 연구 결과가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위메이크뉴스
CP-2022-0027@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이쁜 척이 어색해도 미모는 국보급! 장영란, 47세 맞나 싶을 비주얼 화제
  • "나이 속이고 20년 연애해서" 16살 연하 여친이랑 결혼한 60대 배우
  • "잘 나가는 유명 배우랑 6년동안 동거했다고" 뒤늦게 폭로된 남배우
  • "혈당 200" 넘어도 모르는 당뇨 전조증상 3가지
  • 배우 은퇴하고 재무 설계사 택했는데 "하루아침에 억대 연봉" 찍은 전직배우
  • 자본금 300만원으로 본업 제쳐두고 사업 뛰어들었다가 3천억 매출 CEO된 모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담백함 속의 깊은 맛, 후루룩 즐기는 국수 맛집 5
    담백함 속의 깊은 맛, 후루룩 즐기는 국수 맛집 5
  • 국물 한 숟갈의 위로, 깊은 맛이 있는 찌개 맛집 5
    국물 한 숟갈의 위로, 깊은 맛이 있는 찌개 맛집 5
  • 달콤짭짤한 양념의 유혹, 숯불 향 가득한 돼지갈비 맛집 5
    달콤짭짤한 양념의 유혹, 숯불 향 가득한 돼지갈비 맛집 5
  • 불향으로 완성되는 깊은 맛, 입맛을 사로잡는 숯불구이 맛집 5
    불향으로 완성되는 깊은 맛, 입맛을 사로잡는 숯불구이 맛집 5
  • 이제는 무섭다…3,000억원 美영화까지 이기고 50만 관객 돌파한 ‘韓영화’
    이제는 무섭다…3,000억원 美영화까지 이기고 50만 관객 돌파한 ‘韓영화’
  • 양부모에게 버려진 아이들의 복수극…역대급 매운맛 예고한 신작 드라마
    양부모에게 버려진 아이들의 복수극…역대급 매운맛 예고한 신작 드라마
  • 현재 외국언론들이 알아서 월드 스타로 밀어주고 있는 ‘한국 여배우’
    현재 외국언론들이 알아서 월드 스타로 밀어주고 있는 ‘한국 여배우’
  • 개봉 첫주 주말에 1800억원을 벌것이라 예측이 나온 ‘대박 영화’
    개봉 첫주 주말에 1800억원을 벌것이라 예측이 나온 ‘대박 영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담백함 속의 깊은 맛, 후루룩 즐기는 국수 맛집 5
    담백함 속의 깊은 맛, 후루룩 즐기는 국수 맛집 5
  • 국물 한 숟갈의 위로, 깊은 맛이 있는 찌개 맛집 5
    국물 한 숟갈의 위로, 깊은 맛이 있는 찌개 맛집 5
  • 달콤짭짤한 양념의 유혹, 숯불 향 가득한 돼지갈비 맛집 5
    달콤짭짤한 양념의 유혹, 숯불 향 가득한 돼지갈비 맛집 5
  • 불향으로 완성되는 깊은 맛, 입맛을 사로잡는 숯불구이 맛집 5
    불향으로 완성되는 깊은 맛, 입맛을 사로잡는 숯불구이 맛집 5
  • 이제는 무섭다…3,000억원 美영화까지 이기고 50만 관객 돌파한 ‘韓영화’
    이제는 무섭다…3,000억원 美영화까지 이기고 50만 관객 돌파한 ‘韓영화’
  • 양부모에게 버려진 아이들의 복수극…역대급 매운맛 예고한 신작 드라마
    양부모에게 버려진 아이들의 복수극…역대급 매운맛 예고한 신작 드라마
  • 현재 외국언론들이 알아서 월드 스타로 밀어주고 있는 ‘한국 여배우’
    현재 외국언론들이 알아서 월드 스타로 밀어주고 있는 ‘한국 여배우’
  • 개봉 첫주 주말에 1800억원을 벌것이라 예측이 나온 ‘대박 영화’
    개봉 첫주 주말에 1800억원을 벌것이라 예측이 나온 ‘대박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