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력 6,000명 파견…북한의 러시아 전략동맹 강화
북한이 러시아 쿠르스크 재건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6,000명 규모의 병력을 대거 파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데일리NK 내부 소식통은 북한이 공병, 철도·도로, 통신·전기 기술자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을 포함해 6,000여 명을 이달 중순 파견하기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군사건설총국, 현역 군인뿐 아니라 민간 기술자 일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국 전 약 2주간의 교육을 거치게 된다. 당초 계획됐던 1,000~2,000명에서 세 배 이상 확대된 이번 파견은 쿠르스크 사업이 북한 지도부에 의해 국가 전략 차원의 과업으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김정은 의중 반영? ‘형제적 로씨야’ 강조
이번 대규모 병력 파견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중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고위 간부 회의에서 “형제적 로씨야 동지들과 함께 전승과 전후 복구를 끝까지 도울 것”이라는 말을 언급했다.

또한 “자주적이고 자력으로 선택한 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북한의 독립성과 자주권 확보 의지를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건설 지원이 아니라, 러시아와 정치·군사 동맹 강화를 위한 의도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군사협력 확대 가능성 열어둬
북한 내부에서는 이번 쿠르스크 재건 사업이 순수한 구조복구 수준을 넘어 군사시설 복귀와 방공망 재건 등 군사적 협력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소식통은 “군사시설 복구와 방공망 복원을 통해 군사협력을 한층 강화할 기회를 노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인프라 복구가 끝난 이후 단계적으로 군사적 파트너십을 심화하려는 전략으로, 향후 러시아의 요청에 따라 군사기지 재정비 인력 파견까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경제적 보상도 병력 파견의 동인
병력 파견에는 경제적 이득도 고려된 측면이 있다. 러시아 측은 파견 인력에게 한 달 약 50달러 수준의 외화를 생활비 명목으로 제공하며, 현금이 아닌 현물 또는 비현금 형태로도 보상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 보상금은 대부분 북한 국가계획에 귀속되고 일부만 개별 인원에게 지급된다고 알려졌다. 외화 수입이 제한적인 북한으로서는 외유·현물 보상이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가 되며, 파견 규모 확대의 또 다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제3국 재건 시장 진출 교두보?
관계자는 쿠르스크 사업이 성공하면 북한이 중동 등의 제3국 재건 사업에도 참여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정도 규모의 인력을 해외 파견할 수 있는 능력을 드문 사례”라며, 이는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건설·기술 역량을 과시할 기회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쿠르스크 재건 협력이 성과를 거두면 유사한 군사·인프라 복구 수요가 있는 국가들과의 협업 물꼬를 트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