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 점점 현실로 다가온다
2027년 중국이 대만을 상대로 무력 침공에 나설 것이라는 경고가 국제 전문가들 사이에서 반복되고 있다. 중국군은 이미 양안 전쟁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각종 정예 부대와 전략 무기체계를 집중 배치 중이다.

하지만 대만은 여전히 낡은 장비에 의존하며 국방 역량이 위기에 직면했다. 그나마 최근 들어 대만 정부는 안보 위기 인식에 따라 방위력 강화를 위한 움직임에 나섰다.

국방예산 확대, 세계 최강 ‘자주포 도입’ 프로젝트 가동
대만은 현재 GDP 대비 2.45% 수준에 머물던 국방예산을 3% 수준으로 확대하며 집중적인 무기 도입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 첫걸음으로 미국 M109A7 155mm 자주포 168문 도입을 확정하고, 이를 뒷받침할 M992A3 탄약수송차량과 엑스칼리버 정밀유도탄 대량 확보를 협상 중이다. 이는 노후된 자주포 체계를 최신화하려는 본격적인 포병 현대화 전략이라 볼 수 있다.

M109-52 개량안까지 검토, 사거리 70km까지 확대 노린다
대만은 M109A7의 기본형인 39구경장에서 사거리 40km 수준의 성능을 확인한 뒤, 추가 개량안인 M109-52 추진을 검토 중이다. 52구경장 포신으로 전환할 경우, 사거리를 최대 70km까지 연장하며 중국 해군 함대를 정밀하게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할 목표다. 이를 통해 대만군은 해상 및 지상 모두에서 중거리 타격 역량을 크게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포병 현대화는 시작에 불과, 예산·인력도 문제
물론 자주포 168문 도입은 중대한 전력 강화라지만, 중국군의 대규모 병력과 최신 무기체계에 비하면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대만이 최소 GDP 대비 7~10% 수준의 국방예산 확보에 성공해야 실제 전력 증강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단순한 무기 도입이 아닌 장기적인 방위체계 구축과 군 숙련도 향상 등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절박함’ 없는 강화는 힘을 잃는다
대만 국방당국과 정치권은 중국의 공격 위협을 직시하며 자주포 도입에 나섰지만, 전방위적인 국가안보 개혁에는 여전히 미온적이다. 무기체계만 갖춘다고 전쟁에 대응할 수 있는 건 아니며, 병력 증강, 작전 훈련 강화, 방어 인프라 구축, 국제 공조 확대 등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 단발성 무기 도입을 넘어,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국가 안보 전략 수립이 요구되는 시기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