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이한 착상”…北 조선중앙통신, 지도 사용 사실 공개 비난
지난 19일, 조선중앙통신은 주한미군이 내부 교육용으로 사용 중인 한반도 중심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를 두고, 이를 “기이한 착상”이라며 비난했다. 통신은 해당 지도가 미국의 패권 야욕과 아시아 침략 기도를 그대로 드러낸다고 주장했다.

평택 기지에서 뻗어나간 화살표…침공을 염두 둔 군사행동 계획
북한은 “지도 상 평택 기지를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까지 직선 거리가 표시된 것”은 단순 지도보다는 “작전을 위한 군사행동 계획도”라고 해석했다. 이는 한국을 ‘전초기지’로 삼아 아시아 전역에 기동할 수 있는 의도를 암시한다는 것이다.

“전략적 유연성→전쟁 확대 신호”…주한미군 사령관의 지도 활용 발언
SBS 보도에 따르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 5월 실내 회견 및 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에서 해당 지도를 언급하며, 이 지도가 바로 “전략적 유연성”이 왜 필요한지를 잘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이 마치 고정된 항공모함처럼 보인다”고 말하며, 이는 전투 분대 역할을 암시하는 구조적 설계라고 설명했다.

대만 위기 대응도 염두…‘삼각형 동맹’ 의미 부각
사령관은 지도에서 한국, 일본, 필리핀으로 연결된 삼각형 구조가 대만 위기 등에 대응하기 위한 동맹의 상호작용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 구조는 해당 국가들이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동아시아 내 군사적 파급 효과를 증명한다고 해석됐다.

北 “한국이 미국 ‘돌격대’ 역할”…한미동맹 성격 변화 우려
북한은 미국이 이 지도를 통해 전략적으로 한국을 침략 전진 기지로 전환하려 한다며, 이를 ‘돌격대’로 부활시키려는 시도라고 규정했다. 이는 주한미군 역할이 북한 억제에서 아시아 전역에 대한 기동부대로 확대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되며, 북미 관계뿐 아니라 한국주변 전략 환경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전망: 지도의 전략적 의미, 한미 동맹과 북중관계에 변수
- 한미 동맹: 주한미군이 ‘전략적 유연성’과 대기동성을 핵심으로 강조하면서, 기존 억제력 중심에서 확장 역할을 수행하려는 상황.
- 북중 대응: 북한과 중국은 이를 ‘침략 기도’로 간주, 강한 반발과 외교적 경고가 예견됨.
- 한미 정책 향배: 향후 주한미군 지침과 지리전략 변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방·외교 당국의 의중이 주목됨.

단순 지도 이상…미국 전략 의지와 北 경계가 교차한 현상
이번 사태는 주한미군이 내부 교육 차원을 넘어 아시아 전략 중심 기지로서 한국의 위상을 ‘전술 지도’로 명확하게 설정한 사례로 해석된다. 지도 하나를 둘러싼 미국의 전술 변화, 북한의 공식 반응, 그리고 한미동맹의 역할 재조정 논의까지 이어지면서, 향후 동아시아 안보 지형이 다시 수혈될 수 있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