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정용진 회장의 승부수..” 백종원까지 망하기 일보직전이라는 이유

픽 이야기 조회수  


“정용진의 반값 승부수…백종원까지 휘청이는 초저가 커피의 역습, 커피판이 뒤집혔다”

“싼 커피 아니면 안 산다”…변한 소비자가 만든 ‘가격 파괴’의 시대

2024~2025년 대한민국 커피 시장에 가장 극적인 변화는 소비자 인식에서 출발했다. 코로나19 이후 경기침체와 고금리, 외식물가 폭등이 이어지면서, ‘커피는 사치’라는 의견도 늘어났다.

동시에 하루 한두 잔 이상 커피를 마시는 인구(20~50대 직장인 및 학생)의 커피 수요 자체는 꾸준히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가했다. 하지만 동일한 품질, 비슷한 맛이라면 ‘더 싸게, 더 많이’가 소비자의 새 기준이 되었다.

“커피는 무조건 대용량, 2천원이면 최고.” “스타벅스 한잔 값으로 두잔 마신다.”
이러한 인식 변화 속에서 민감하게 반응한 곳이 바로 메가커피·컴포즈커피·빽다방 등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였다.


1,000원대 커피의 반란…저가 브랜드의 도약

저가 브랜드의 성장은 단순한 가격 파괴를 넘어선 ‘대중화 대혁명’으로 평가된다. 메가커피는 아메리카노 1,500~2,000원, 아이스라떼 2,500원 안팎에 500ml가 넘는 대용량을 내세웠다. 새로 생기는 상권마다 30~50평 규모 대형 매장이 입점, 빽다방·컴포즈커피도 쏟아져 나오며 한때는 한 블록 건너 한 곳씩 보이는 ‘커피 편의점’ 시대를 열었다.

실제로 2023~2024년 메가커피는 43% 이상, 컴포즈커피는 26%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빽다방도 2024년 연 매출 약 1,600억 원, 점포수 1,600곳을 돌파하며 1,700개 돌파를 앞두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 17~20%, 신규카페 창업 중 절반 이상이 저가 프랜차이즈 브랜드로 채워지고 있다.

저가 브랜드의 성공 요인은 단지 가격만이 아니다.

  • 대형화된 매장 운영으로 원재료 대량구매,
  • 주문 자동화 설비,
  • 초고속 회전율,
  • 소형 거점 배달·픽업 스테이션 도입,
  • SNS 홍보,
  • 지역별 모델 기용 등,
    ‘물량 우위’와 ‘가격, 품질, 마케팅’ 삼위일체를 만들어 냈다.

“프리미엄만으론 안 된다”…정용진·스타벅스의 반격

프리미엄 커피의 최대 상징 스타벅스는 그동안 고급 인테리어, 한정판 굿즈, 독립 리워드 서비스, 전문 바리스타 서비스 등을 내세웠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매년 1,000억 원 이상 점포 확장, 두 자릿수 성장률을 고집했다. 하지만 2023년 하반기, ‘깊은 위기’라고 표현할 수 있는 신호들이 나타났다.

  • 신규 점포 매출 성장세 둔화
  • 5,000원대 아메리카노를 외면하는 20~30대
  • 일부 지역 강남, 시내 대형점 매출 감소
  • 대용량·저가 경쟁의 확산
    이런 변화 속에서 2024년 스타벅스는 파격적인 가격 정책을 내놓았다. 그 대표가 바로 **‘원 모어 커피’**와 **‘이브닝 이벤트’**다.

‘원 모어 커피’ 전면화…반값 전략

‘원 모어 커피’는 커피를 한 잔 구매할 때 당일 재구매 시 두 번째 커피를 60%나 할인해준다. 톨사이즈 오늘의 커피가 1,800원, 카페라떼가 2,500원이면 저가 브랜드와 맞먹거나 오히려 더 저렴하다. 기존에는 VIP 회원만 가능했으나, 회원 누구나 제공하는 파격 프로모션으로 바뀌었다. 앱 가입자만 1,400만 명으로 거의 전 고객에게 혜택이 돌아간 셈이다.


“모든 게 바뀌는 커피 시장…파격 승부수, 진짜 승자는 누구?”

2025년 현재, 커피시장은 가격·품질·경험의 3파전 양상이다.

  • 저가·대용량 양산 브랜드 : 메가커피, 컴포즈, 빽다방
  • 프리미엄·브랜드 경험 중시 : 스타벅스, 커피빈, 할리스
  • 하이브리드형 전략(프리미엄+가성비 동시 공략) : 스타벅스, 일부 다점포 매장, 편의점계 커피

정용진 회장의 승부수는 결국 스타벅스가 프리미엄 브랜드의 ‘문화와 경험’ 이미지를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가격·할인·혜택이라는 실질적 ‘무기’까지 두루 갖추는 ‘올인원 플랫폼’으로 진화하려는 시도다. 한편 백종원의 빽다방 등 저가 브랜드는 매출은 증가하지만 수익성 감소, 신규 창업 경쟁 등 불안요소가 커지는 실정이다.

가격 파괴의 끝에는 ‘누가 진짜 효율적으로 오래 살아남을 변화와 시스템, 스토리, 고객소통’을 만드는가의 싸움이 있다. 파격 승부수의 끝, 대한민국 커피 시장의 대격변은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관련 기사

author-img
픽 이야기
CP-2025-0135@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나솔사계 미스터들의 자기소개 후 반전 매력으로 호감 상승!
  • "미국도 실전 도입한다" 작지만 전차도 폭발시키는 '이것' 앞으로 1천대 배치한다
  • "무려 6400억 규모" 한국의 '이것' 전면 개량에 방공망 수준 달라졌다!
  • “800억 예산 투입” 해외 의존하던 '이것' 국산화 성공 역대급 쾌거!
  • 치매 온 적이 단 한 번도 없는 120세 할머니가 매일 ''이것''을 했습니다.
  • “내 동생이니까 내가 지켜” 엄마조차 접근 못하게 한 강아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