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년 산 집이 사라졌다” 중국 노부부의 황당한 철거 참사
2025년 여름, 중국 광둥성 광저우의 변두리에서 평생을 살아온 한 노부부의 삶이 하루아침에 송두리째 흔들리는 황당한 사건이 벌어졌다. 85세 판 자앤구오와 83세 아내 샤오 씨는 장을 보러 잠깐 나간 사이, 40년을 살아온 보금자리가 흔적도 없이 철거된 광경을 마주했다. 지역 언론과 외신이 집중 조명한 이 사건은 성장과 개발에 쫓긴 중국 사회의 병폐와, 약자 보호의 부실함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공장 확장에 희생된 삶의 터전
사건의 발단은 부부가 살던 집 인근 공장의 사장이 공장 부지 확장을 꾀하면서 시작됐다. 8년간 사장과 이 집에 거주하던 노부부는 반복적으로 이주 압박을 받았지만 “한 발자국도 집을 떠날 수 없다”며 완강히 버텼다. 이런 대립이 계속되자, 공장 측은 집의 실제 땅 소유주와 직접 협상을 진행, 결국 부부가 장을 보러 잠시 집을 비운 사이 무단 철거를 감행했다.

삶의 흔적마저 잃어버린 황망함
판 자앤구오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집만 잃은 게 아니라, 우리 인생의 모든 것을 잃었다”고 절규했다. 애지중지한 사진, 보석 등 생활의 흔적으로서의 소유물, 싱크대와 TV, 의류, 가구까지 모든 물건이 분쟁의 대상도 되지 못한 채 폐허로 변했다. 집의 권리도, 물건의 소유권도 한순간에 무너진 것이다.
“설령 땅 주인이 따로 있다 해도, 40년간 이 집에서 살았다면 임차인의 동의 없이 이런 식의 강제 철거가 벌어져서는 안 된다”는 그의 호소는, 중국의 빠른 개발정책과 그에 따른 시민 권리 부재 문제를 다시금 환기시킨다.

법적 보호, 현실은 “민사니까 몰라요”
분노한 부부는 공장 사장을 상대로 법적 소송을 준비하고 있으나, 변호사를 선임할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모으는 형편이다. 지역 경찰에 신고했지만 “이건 민사 문제이므로 경찰권 집행이 어렵다”며 사실상 손을 놓았다. 중국 사회에서 장기 임차인과 약자 보호가 미진한 틈을 타, 개발이나 상업적 이익이 더 우선되는 현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개발 속도에 밀린 약자, 반복되는 철거 사례
이런 ‘무통보 철거’ 참사는 중국 각지에서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다. 대대적인 도시 개발, 도로 신설, 공장 확장 등 사업자와 토지 소유주의 결탁 아래, 장기 거주민들이 사전 보상이나 적정 이주 조치 없이 일방적으로 쫓겨나는 실태는 결코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심지어 실질 거주 기간, 물품 소유 사실, 생활의 터전이라는 상징성마저도 무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