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전북을 ‘미래 농생명 산업의 허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수직농장과 스마트농업을 고도화하고 농생명 상업지구를 활성화하는 등 구체적 방안도 제시했다. 전통적 곡창지대로서 대한민국 ‘식량 혁명’을 이끌었던 전북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불어 넣겠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18일 전북 정읍에서 ‘신(新) 서해안 시대를 여는 경제 전진기지, 전북’을 주제로 민생토론회를 열었다. 지난 6월 경북 민생토론회 이후 한 달 만에 개최된 토론회에서 전북의 글로벌 생명 경제 도시 도약을 위한 다양한 발전 방안이 논의됐다. 윤 대통령은 “전북은 발전 잠재력이 아주 매우 큰 지역”이라며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대한민국 전통적 곡창지대였던 전북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하다는 게 윤 대통령의 생각이다. 윤 대통령은 “(전북은) 우리가 먹고살기 어려웠던 시절에 녹색혁명이라고 불리는 대한민국의 식량혁명을 이끌었던 곡창지대”라며 “이제는 새로운 역할이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윤 대통령은 전북을 대한민국 생명산업의 전진기지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는 윤 대통령이 이날 언급한 ‘첨단’, ‘생명’, ‘문화’ 등 3대 비전 중 하나다.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인한 식량안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전북은 이러한 계획을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입지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새만금을 비롯한 농생명산업 인프라가 집약돼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정부는 수직농장과 스마트농업의 고도화 방안을 내놓았다. 현재 하드웨어 중심의 1세대 스마트농업을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2세대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3%였던 스마트팜 ICT 장비 보급을 올해 18%까지 확대하고, 연말까지 스마트농업 솔루션 확산, 드론·로봇 등 첨단 기술 활용 방안 등을 포함한 ‘스마트 농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팜 창업에 청년들이 도전할 수 있도록 2만4,000평 규모의 ‘임대형 스마트팜’을 김제와 장수 지역에 조성할 계획도 밝혔다.
◇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 조성
2030년까지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를 조성하겠다고도 했다. 기존 식품 산업뿐 아니라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미래산업 육성에 필요한 혁신기업을 유치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문화·관광·체험이 어우러진 문화 복합 거점 조성 구상도 담겼다. 윤 대통령은 “미래 농생명 산업은 첨단기술, 문화·관광과 융복합한 새로운 산업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미래 농생명 산업의 전천후 기지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윤 대통령은 “새만금이 첨단 미래 농업의 전진기지가 되도록 4,500억원 규모의 농업용수 공급사업을 추진해 스마트팜을 포함한 첨단 농업시설 입주를 지원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새만금이 농생명 산업의 중요한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새만금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농업용수 적기 공급 등을 위해 유관기관과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은 전북을 ‘첨단 산업의 교두보’로 만들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새만금 단지를 투자진흥지구와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하고 전주·정읍 등에 탄소 융복합, 모빌리티, 동물의약품, 건강기능성식품 분야 기회발적특구를 지정한 데 이어 전주에 ‘탄소 소재 국가산업단지’를 2027년까지 완공하겠다고 밝히면서다.
완주에는 ‘수소 상용차 산업벨트 구축’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했다. 또한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발전과 혁신을 견인할 석·박사급 고급 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등 미래 첨단 산업을 이끌 인력 양성과 R&D 생태계 조성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고 더 큰 미래로 도약해 나가는 길에 전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난해 12월 제정된 전북특별자치법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법안 개정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생명경제도시 전북을 이루는 데 필요한 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체류형 생활 인구 특례지원 사업과 같은 과제들을 특별법에 반영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