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막외신경 차단술 경막외마취 주사 수술 및 통증관리에 사용되는 요법
경막외 신경차단술과 마취란?
경막외 신경차단술(epidural nerve block)은 척추를 감싸고 있는 막(경막)의 바로 바깥쪽 공간에 약물을 주입하여 신경의 통증 전달을 차단하는 치료법입니다. 흔히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thesia)라고도 부르며, 주로 수술이나 출산 중 통증을 완화하거나 만성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경막외 신경차단술의 원리
척수를 보호하는 경막 바깥에 위치한 공간에 바늘을 삽입하고 작은 튜브(카테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약물을 주입합니다. 약물이 신경 주변으로 퍼지면서 통증 신호를 차단하고, 감각과 움직임을 조절하여 효과적인 통증 완화를 제공하게 됩니다.
경막외 신경차단술의 사용 목적
1. 수술 중 통증 완화
수술 중 신경차단제를 통해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합니다. 일반적으로 10~20분 내 효과가 나타나며, 수술 전후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출산 중 통증 관리
출산 과정에서 자궁 수축으로 인한 통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줍니다. 경막외 마취는 출산 중 여성들이 가장 흔히 선택하는 마취 방법입니다.
3. 만성 통증 관리
허리, 목, 팔, 다리의 만성 통증이나 디스크 탈출증, 척추 협착증과 같은 질환의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등 다양한 약물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경막외 신경차단술 진행 과정
-
편안한 자세를 잡고 앉거나 옆으로 누워 무릎을 가슴 가까이 끌어당깁니다.
-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주사 부위를 무감각하게 만듭니다.
-
의사가 척추 부위에 경막외 바늘을 삽입하여 올바른 위치를 확인합니다.
-
카테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일회성 주사를 시행합니다.
경막외 신경차단술의 장점
-
통증 완화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전신 마취보다 적은 양의 약물을 사용하므로 부작용이 적습니다.
-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도와줍니다.
-
출산 중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발생 가능한 부작용과 합병증
-
일시적인 저혈압
-
소변 배출 곤란
-
두통이나 어지러움
-
드물게 신경 손상, 감염, 경막외 공간 출혈 등
경막외 신경차단술 이후 주의사항
-
최소 24시간 동안 운전, 기계 조작, 음주를 피해야 합니다.
-
의사의 지시를 철저히 따르고, 처방된 약물을 정확히 복용해야 합니다.
-
주사 부위에 통증, 붓기, 열감이 있으면 즉시 의료진에게 연락하세요.
경막외 신경차단술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
혈액 응고 장애가 있거나 혈액 응고제 복용 중인 경우
-
척추 주변 피부에 감염이 있는 경우
-
국소 마취제나 관련 약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
중증 당뇨병이나 기타 만성 질환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의료진에게 즉시 알려야 할 증상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심한 두통, 허리나 다리의 통증 증가, 무감각 또는 마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경막외 신경차단술 및 경막외 마취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통증 완화 방법이지만, 환자의 상태와 상황에 따라 적합성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