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한 장례 의전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대한민국 장례 문화의 변천을 공개했다.
프리드라이프는 자사 장례 의전 빅데이터 분석 결과 ▲화장의 압도적 우세와 매장의 감소 ▲자연장의 관심 및 이용 증가 ▲종교별 맞춤 장례서비스 수요 지속 등의 현상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먼저 ‘화장’은 2015년 전체 장법 중 69%를 차지했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81%로 압도적인 비율을 기록했다.
전통적 장법인 ‘매장’은 2024년 전체 장법에서 6%의 비중을 차지, 2015년 18%와 비교해 확연히 감소했다. 특히, 같은 기간 화장 비율이 약 12%p 증가한 반면 매장은 약 12%p 감소하며, 장법 선호가 매장에서 화장으로 이동하는 추세를 포착했다. 매장 방식 중에서 관 채로 땅 속에 모시는 ‘관장’은 50%, 관 없이 고인만 하관하는 ‘탈관’은 49%를 차지했다.
새로운 장례 문화로 부상하고 있는 ‘자연장’의 이용 증가 추세 역시 눈에 띈다. 수목장과 해양장 등의 자연장은 2015년 대비 약 91% 증가했다. 프리드라이프 관계자는 “특히 산이나 바다 등에 고인의 유골을 뿌리는 장법인 산분장이 올해 1월 24일 제도화되면서 산분장 문의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고 말했다.
장례 형태로는 여전히 전통식 장례가 우세한 가운데 종교별 맞춤 장례서비스 수요도 꾸준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식 장례는 2015년에 이미 과반 이상인 54.7%를 차지했으며 2024년에도 55.7%를 기록했다. 종교식 장례행사 비중은 2015년 45%에서 2024년 44.3%로 0.7%p 감소했으며 기독교식 24%, 불교식 13%, 천주교식 7% 순으로 나타났다. 프리드라이프는 특허 받은 한지궁중대렴과 봉안함, 관보 등 장례용품, 고인 추모영상 등 종교별로 맞춤 장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프리드라이프 관계자는 “프리드라이프는 장례 의전을 진행하면서 누적된 데이터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최적화된 장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아름다운 추모문화를 이끄는 리딩 기업으로서 상조 산업의 공익적 가치 실현을 위해 새롭고 참신한 시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