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자신있게 홍보하더니”… ‘자율주행’ 사라지는 중국 그 배경은?

래디언스리포트 조회수  

이해를 돕기 위해 생성된 이미지 [사진 = 래디언스리포트]
이해를 돕기 위해 생성된 이미지 [사진 = 래디언스리포트]

(래디언스리포트 신재성 기자)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중국 자동차 업계는 자율주행 기술을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치켜세우며 공격적인 홍보에 나섰다. “차가 스스로 운전한다”는 비전은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았고, 첨단 기술 국가로서의 위상까지 함께 부각됐다. 그러나 최근, 그 화려한 약속은 점점 조용히 사라지고 있다.

2025년 4월 중순, 중국 산업정보화부(MIIT)는 자율주행 관련 마케팅과 기술 설명에서 ‘자율’ 또는 ‘자동’이라는 표현을 사실상 금지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자동차 제조사는 이제부터 ‘자율주행’, ‘지능형 운전’, ‘완전 자동 운전’ 등의 문구를 사용해서는 안 되며, 기능의 수준은 국제 기준인 SAE 등급 체계에 따라 L2 수준 이하로 명확히 표기해야 한다.

이 변화는 단순한 마케팅 조정이 아니다. 그 배경에는 소비자 안전을 둘러싼 뿌리 깊은 우려가 자리 잡고 있다. 결정적 계기는 2025년 3월 29일 발생한 샤오미 SU7 사고였다. 이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반 자율주행(NOA)’ 모드로 주행 중이었으며, 시속 약 97km로 공사 구간의 구조물에 충돌해 탑승 중이던 대학생 3명이 숨지는 참변이 벌어졌다. 시스템이 경고를 발했음에도, 운전자의 개입만으로 사고를 피하지 못한 상황은 자율주행 기술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줬다.

이 사고를 계기로 MIIT는 기술적 한계를 감추는 표현에 강한 제동을 걸었다. 이제부터 모든 시스템은 운전자 감시 기능이 반드시 작동해야 하며, 손이 핸들에서 60초 이상 떨어질 경우에는 자동 감속, 비상등 점멸, 차량 정지 등 위험 대응 시스템을 즉시 가동해야 한다.

지난 3월 중국에서 샤오미 전기차와 관련된 사고가 발생해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사진 = 웨이보 章博]
지난 3월 중국에서 샤오미 전기차와 관련된 사고가 발생해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사진 = 웨이보 章博]

사라지는 자율주행, 바뀌는 업계 전략

샤오미는 곧바로 SU7의 마케팅 자료에서 ‘자율주행’이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기능을 ‘Xiaomi Assisted Driving Pro’로 변경했다. XPeng, NIO, 리오토(Li Auto) 등도 비슷한 흐름을 따랐다. 쇼룸에서조차 ‘자율’이라는 단어는 찾아보기 어려워졌으며, 대신 “L2 등급 보조 운전 시스템”이라는 설명과 “운전자의 집중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강조된다.

기술의 수준은 변하지 않았지만, 이를 설명하는 언어와 태도는 완전히 달라졌다. 소비자가 기술을 오해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이며, 이는 단순히 규제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제조사의 책임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부 업체는 ‘ADAS 보험’이라는 보조 운전 전용 보험까지 도입하며, 기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이를 보완하는 현실적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생성된 이미지 [사진 = 래디언스리포트]
자율 주행 용어가 사라진 샤오미 [사진 = carnewschina.com]

자율주행 규제, 단지 ‘중국 문제’일까?

중국의 변화는 단순한 국내 규제 강화로 끝나지 않는다. 사실상 글로벌 자동차 산업 전체가 ‘완전 자율’이라는 이름에 의문을 던지고 있는 시점이다. 미국에서조차 테슬라는 ‘풀 셀프 드라이빙(FSD)’이라는 이름으로 과도한 기대를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최근에는 ‘Supervised Full Self-Driving’으로 명칭을 조정하며 법적 책임 문제에 대비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기술은 신중하게, 표현은 정확하게’라는 원칙을 앞세우며 시장을 정돈하고 있다. 이는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도 시사점을 던진다. 국내에서도 일부 브랜드가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과장해 설명하거나, 소비자가 시스템 수준을 오해할 수 있는 구조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향후 자율주행 마케팅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술의 진보는 멈추지 않지만, 기술을 어떻게 ‘이해시키느냐’는 이제 더 이상 부차적인 문제가 아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생성된 이미지 [사진 = 래디언스리포트]
이해를 돕기 위해 생성된 이미지 [사진 = 래디언스리포트]

“자율”이라는 단어가 감당하지 못한 무게

자율주행 기술은 여전히 개발 중이며, 상황 인지와 판단력 면에서 인간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도심 내 비정형 상황, 돌발적인 환경 변화, 공사구간 등에서 기술은 수많은 예외에 노출된다.

따라서 ‘자율’이라는 단어는 실제 기술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있었다. 기술보다 표현이 앞서간 결과, 기대와 현실의 괴리에서 비롯된 사고가 산업 전체의 신뢰를 위협한 것이다.

중국의 이번 결정은 단지 규제의 강화가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이 다시금 현실의 안전성과 책임 있는 소통을 중심으로 재정렬되는 계기다.

기사 요약

중국 MIIT, 자율주행 표현 규제 공식화

SU7 사고 계기로 기술 신뢰도 하락

기술은 그대로, 표현은 보조 중심으로 재편

핸들 이탈 60초 이상 시 자동 위험 대응 의무화

쇼룸과 웹에서 자율주행 문구 사라져

XPeng, NIO 등도 표현 재정비 및 보험 도입

글로벌 추세도 표현 정제 방향으로 이동

자율주행 기술보다 ‘정확한 소통’의 시대

관련 기사

author-img
래디언스리포트
CP-2025-0024@fastviewkorea.com

[AI 추천] 랭킹 뉴스

  • 연예인 중 유일하게 "수능 때 아침 점심 전부다 굶고 시험 쳤다는" 여배우
  • 10년 가까이 연애 하고 결혼 했는데 "혼인 신고 안 하고 살다가 벌금 낼 뻔한" 연예인
  • 개그맨 "커플끼리 연애만 8년 했다가 결혼 했는데" 아무도 눈치 못 챈 개그맨 부부
  • 고압산소치료 방법 및 방식 절차, 만성 상처 회복, 면역력 올리는 역할
  • 5월 강원도 태백 가볼만한 곳 :: 낙동강 발원지 황지연못, 지질명소 구문소
  • 화장품주가 반짝한 하루

당신을 위한 인기글

  • 100년 이상 지켜나가야 할 서울의 보물같은 맛집 5
    100년 이상 지켜나가야 할 서울의 보물같은 맛집 5
  • 세월만큼 깊어진 진한 맛, 오랜 전통의 국밥 맛집 5
    세월만큼 깊어진 진한 맛, 오랜 전통의 국밥 맛집 5
  • 한국화 된 중식을 맛보려면 단연 이곳! 인천 차이나타운 맛집 5
    한국화 된 중식을 맛보려면 단연 이곳! 인천 차이나타운 맛집 5
  • 이렇게 퍼줘도 남는 게 있는건가요? 서비스 혜자 맛집 5
    이렇게 퍼줘도 남는 게 있는건가요? 서비스 혜자 맛집 5
  • “자리 없는데…”경차 전용 주차장, 차량 조건 안 되면 과태료 낼까?
    “자리 없는데…”경차 전용 주차장, 차량 조건 안 되면 과태료 낼까?
  • 하부 세차, 언제 해야 적기일까?
    하부 세차, 언제 해야 적기일까?
  • 신호등 없는 교차로, 양보는 누가 먼저?
    신호등 없는 교차로, 양보는 누가 먼저?
  •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낮춰야 할까 높여야 할까?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낮춰야 할까 높여야 할까?

당신을 위한 인기글

  • 100년 이상 지켜나가야 할 서울의 보물같은 맛집 5
    100년 이상 지켜나가야 할 서울의 보물같은 맛집 5
  • 세월만큼 깊어진 진한 맛, 오랜 전통의 국밥 맛집 5
    세월만큼 깊어진 진한 맛, 오랜 전통의 국밥 맛집 5
  • 한국화 된 중식을 맛보려면 단연 이곳! 인천 차이나타운 맛집 5
    한국화 된 중식을 맛보려면 단연 이곳! 인천 차이나타운 맛집 5
  • 이렇게 퍼줘도 남는 게 있는건가요? 서비스 혜자 맛집 5
    이렇게 퍼줘도 남는 게 있는건가요? 서비스 혜자 맛집 5
  • “자리 없는데…”경차 전용 주차장, 차량 조건 안 되면 과태료 낼까?
    “자리 없는데…”경차 전용 주차장, 차량 조건 안 되면 과태료 낼까?
  • 하부 세차, 언제 해야 적기일까?
    하부 세차, 언제 해야 적기일까?
  • 신호등 없는 교차로, 양보는 누가 먼저?
    신호등 없는 교차로, 양보는 누가 먼저?
  •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낮춰야 할까 높여야 할까?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낮춰야 할까 높여야 할까?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