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퍼(좌) / 아이오닉9(우) [사진 = 현대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5/CP-2025-0024/image-b7ba0466-0bbe-49a8-ad94-e5a406e8a4a5.png)
(래디언스리포트 신재성 기자) 2025년 2월 출시된 현대차의 플래그십 전기 SUV ‘아이오닉 9’. 6,700만 원에서 최대 7,900만 원에 이르는 고급 가격대를 내세우며 “K-전기차의 정점”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이 차량은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을 초과하여 대부분 트림에서 보조금 지원을 받기 어렵다.
2025년 5월 기준, 환경부가 발표한 보조금 기준에 따르면 차량 가격이 5,300만 원을 넘을 경우 보조금은 삭감되거나 지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아이오닉 9은 고가 전기차가 안고 있는 ‘보조금 사각지대’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됐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 정도면 그냥 내연기관 SUV 사는 게 낫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아이오닉9은 그냥 쇼룸용 전시차”라는 자조 섞인 글도 올라왔다. 전기차 전환에 대한 소비자의 열망은 높지만, 가격이라는 현실의 벽은 아직도 높다.
![캐스퍼 [사진 = 현대자동차 SNS]](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5/CP-2025-0024/image-a28da46d-6c0b-41fe-8634-89b9766375a3.png)
“보조금 없이는 못 사”…보조금 축소가 불러온 혼란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수년간 보조금을 지급해 왔으나, 최근 그 규모는 점차 축소되고 있다. 2025년 기준 전기차에 지급되는 최대 보조금은 580만 원으로, 전년 대비 70만 원 감소했다. 또한 보조금 전액을 받기 위한 차량 가격 기준도 5,700만 원에서 5,300만 원으로 하향 조정됐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고가 모델 위주로 개발된 전기 SUV 시장은 사실상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며 경쟁력을 잃고 있다. 소비자들은 “보조금 없으면 사실상 접근 불가능한 가격”이라며 부담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은 눈에 띄게 양극화되고 있다. 고급 전기차는 ‘그림의 떡’이 되고, 정부 기준을 충족하는 실속형 모델로 수요가 몰리는 구조가 뚜렷해진다.
![[사진 = 현대자동차 SNS]](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5/CP-2025-0024/image-589c24f0-4251-407c-8103-028c932e34cd.png)
현실은 ‘EV3·캐스퍼’…가성비 모델에 쏠린 관심
현 시점에서 소비자들이 실제로 구매를 고려하는 전기차는 아이오닉 9이 아닌 기아 EV3,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같은 보조금 전액 지급 대상의 중저가 전기차다.
기아 EV3는 3천만 원대 후반에서 시작되는 합리적인 가격과 500km에 달하는 주행거리(롱레인지 기준)를 갖추며 ‘국민 전기차’를 노리고 있다.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역시 3천만 원 초중반으로 예상되며, 도심형 경전기차 수요를 공략할 전략 모델로 떠오른다.
온라인 반응 역시 뚜렷하다. “보조금 못 받는 전기차는 그냥 사지 말라는 뜻”, “EV3 기다리는 게 훨씬 낫다”, “이제는 진짜 성능과 가격, 유지비가 중요한 시대”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 = 현대자동차 SNS]](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5/CP-2025-0024/image-0f588e14-e442-4ec3-ae2b-d28c2d03a038.png)
해외는 ‘보조금 절제 모드’, 한국만 예외?
전기차 보조금 축소는 글로벌 트렌드다. 프랑스는 법인 구매 보조금을 폐지, 개인용 전기차 지원도 축소했다. 독일은 2024년 말 보조금 제도 전면 중단을 선언했으며, 영국은 2022년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하고 일부 예외만 차등 지원 중이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세액공제 방식으로 보조금을 제한 지급하고 있으며, 자국 내 생산 부품 사용 여부에 따라 보조금 대상이 갈리는 구조다.
이처럼 글로벌 주요국이 시장 자율성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한국은 여전히 보조금 중심의 소비 유도에 의존하는 구조다. 보조금 없이는 전기차 시장이 성장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사진 = 현대자동차 SNS]](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5/CP-2025-0024/image-e9368e3c-bde8-487d-a340-333721ba62c3.png)
전기차 시장, ‘보조금 의존’에서 벗어날 준비됐나
보조금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시장은 결국 자생력이 부족하다. PwC와 딜로이트 등 주요 컨설팅 기관들은 “보조금 의존 모델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경고했다.
차량 가격 인하, 배터리 기술 혁신, 충전 인프라 확대 등 구조적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배터리 단가 하락 전망이 나오는 만큼, 제조사들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정부 또한 단기 보조금보다는 생태계 조성 중심의 전략 전환이 요구된다.
소비자 역시 단기적 할인이나 보조금보다 차량의 성능, 유지비, 내구성 등 ‘본질적 가치’를 따져보는 구매 습관이 필요하다.
![현대 전기차 [사진 = 현대자동차 SNS]](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5/CP-2025-0024/image-b6317c92-737e-4bc6-8cdd-009206a3ecd1.png)
기사 요약
아이오닉 9, 보조금 기준 초과로 소비자 접근성 낮아
2025년 보조금 축소, 고가 전기차 수요 위축 전망
실속형 모델 중심으로 구매 전환 가속화
글로벌 주요국은 보조금 감축 또는 폐지 기조
보조금 의존 경제에서 벗어나야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
기술력·인프라 중심의 전기차 생태계 필요
소비자 역시 ‘가성비’에서 ‘진짜 가치’로 판단 기준 변화 필요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