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단돈 55만원으로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는 방법

건강한 하루 조회수  


초소형 AI 드론이 전장 판도 바꾼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전력은 수십만 원대 초소형 AI 드론이다. 손바닥보다 작은 기체는 스스로 지형을 인식하고 GPS 교란을 피해 목표물을 찾아간다. 제어 신호가 끊겨도 내장 모델이 실시간으로 길을 계산해 표적을 추적하기 때문에 값비싼 유도탄 못지않은 정확도를 자랑한다. 400달러(약 55만 원)짜리 드론이 3000만~1억 원대 JDAM·AGM과 맞먹는 효과를 내니, 방어 측엔 악몽에 가깝다. 우크라이나군이 운용하는 ‘스카이 헌터’ 드론은 러시아 전차 포탑의 약점을 찾아 폭발물을 밀어 넣는 영상을 이미 수차례 공개했다. 공격뿐 아니라 ‘적대적 패턴’을 입힌 스티커나 디지털 위장을 붙여 AI 탐지를 따돌리는 기법도 속속 등장했다. 공격과 방어의 지능형 진화 경쟁이 일상화되고 있는 셈이다.


지휘소의 AI 참모, 결심 시간을 단축하다

전장 한복판을 누비는 드론만큼 지휘소 내 AI 시스템도 존재감을 넓히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운용하는 ‘GIS 아르타’는 드론과 휴대전화, 위성 사진으로 들어온 표적 좌표를 1분 이내에 분석해 “어느 포대가 몇 초 후 어디로 쏴라”는 명령을 자동 산출한다. 포병계를 뒤흔든 ‘우버 효과’라는 별칭이 붙은 이유다. 미국·이스라엘은 더 나아가 다종 센서를 통합하는 대규모 AI 퓨전 센터를 가동 중이다. 지상·공중·해양·사이버 데이터를 한데 묶어 실시간 의사결정 지도를 그려내는 시스템으로, 사령관은 과거 수 시간이 걸리던 결심을 단 몇 분 안에 내린다. AI는 인간이 놓치기 쉬운 병참 흐름도 예측한다. 탄약, 연료, 의료 물자까지 재고‧수요를 자동 산정해 전장 전역에 최적 분배안을 추천한다.


공격과 방어의 끝없는 진화, 적대적 AI 전쟁

AI 무기가 널리 퍼질수록 ‘상대 AI를 무력화하는 AI’도 가파르게 발전한다. 적대적 공격(adversarial attack) 기술은 무기 표면이나 지형물에 왜곡 패턴을 삽입해 드론·로봇의 시각 모델을 교란한다. 반대로 탐지 필터를 교정해 왜곡을 실시간으로 무효화하는 방어 알고리즘도 등장했다. 한편 인간 통제에서 벗어난 완전 자율살상체계(‘킬러 로봇’)의 등장은 인류적 우려를 낳는다. 핵무기가 물리적 파괴력을 기준으로 했다면, AI 무기는 판단과 대응 속도를 기준으로 전쟁의 룰을 바꾸고 있다. 국제사회가 일찍이 핵확산금지조약(NPT)으로 핵을 규제했듯, ‘LAWS(자율살상무기 금지 협약)’ 논의가 급해졌다는 경고가 잇따른다.


AI 군사력 주도국과 한국의 현주소

AI 군사 서열은 미국이 압도적 1위다. DARPA가 주도하는 연구 생태계에 실리콘밸리 빅테크가 합류하면서 소프트웨어‧센서‧클라우드를 포괄하는 ‘AI 전투 클러스터’가 완성됐다. 중국은 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을 앞세워 얼굴인식·응용 모델 분야에서 추격 중이고, 이스라엘은 첩보·방공 융합에서 독보적 실용 노하우를 쌓았다. 한국은 2024년 국방AI센터 창설로 체계를 잡기 시작했지만, 군·산·학 통합 속도와 데이터 개방이 여전히 느린 편이다. 다만 한화·현대로템이 개발 중인 자율 무인 차량과 드론봇 전력, 방산 스타트업의 생성AI 군수 플랫폼이 속속 나타나면서 ‘후발 급가속’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리‧통제 과제, ‘킬러 로봇’ 시대의 경고

핵무기 아버지 오펜하이머가 남긴 죄책감은 지금 AI 연구자들에게 다시 울린다. 학습 데이터 편향, 오작동, 명령 위조 등 변수는 아직 무궁무진하다. 실수 한 번이 대량 학살로 이어질 가능성, 제3자가 손쉽게 복제·악용할 위험, 인간이 개입할 마지막 ‘킬 체인’이 사라지는 상황까지 모두 현실적이다. 결국 AI 무기의 미래는 기술이 아닌 통제와 투명성, 국제 규범에 달렸다. 각국이 경쟁적으로 ‘킬러 로봇’ 개발을 추진하더라도, 최소한 인간 최종 승인(Human-in-the-Loop) 장치를 의무화하고 교전 규칙·감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AI가 ‘전쟁 억제’로 쓰일지, ‘종말 가속기’가 될지는 인류 공동의 선택에 달려 있다.

관련 기사

author-img
건강한 하루
CP-2025-0012@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흡연자들은 "이 음식" 필수로 먹으세요 죽어가는 폐도 살릴 수 있습니다
  • 계란을 "이렇게 먹는다면" 돌이킬 수 없는 탈모가 찾아옵니다.
  • 아침밥 거르는 아이들 "성인돼서 이 질병" 대부분 찾아왔습니다.
  • 냉장고에 ''이걸'' 넣어보세요, 냉장고에 음식냄새 싹 사라집니다.
  • 도마에 김칫국물 베이지 않게 써는 간단한 방법
  • 가스레인지 기름 때 "이렇게" 하면 3분만에 전부 녹아내립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북한출신 꽃제비 소년, 탈북해 K-팝 아이돌이 되어 미국서 공연하다
    북한출신 꽃제비 소년, 탈북해 K-팝 아이돌이 되어 미국서 공연하다
  • 한때 한국 자동차 시장을 위협한 일본 국민 자동차 회사, 완전히 망한 근황
    한때 한국 자동차 시장을 위협한 일본 국민 자동차 회사, 완전히 망한 근황
  • 일본으로 귀화해 충성을 맹세한 대한제국황실 후손의 최후
    일본으로 귀화해 충성을 맹세한 대한제국황실 후손의 최후
  • 삼풍백화점이 무너진날…그룹 회장이 기자들 앞에서 한 역대급 망언
    삼풍백화점이 무너진날…그룹 회장이 기자들 앞에서 한 역대급 망언
  • 이제 中 미세 먼지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반갑지만 조금 슬픈 이유
    이제 中 미세 먼지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반갑지만 조금 슬픈 이유
  • 김건희가 면회자를 통해 남편에게 꼭 전해 달라고 한 중요 메시지 내용
    김건희가 면회자를 통해 남편에게 꼭 전해 달라고 한 중요 메시지 내용
  • “드디어 돌아온 다마스” 터보 엔진에 4륜 구동까지 갖췄다!
    “드디어 돌아온 다마스” 터보 엔진에 4륜 구동까지 갖췄다!
  •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북한출신 꽃제비 소년, 탈북해 K-팝 아이돌이 되어 미국서 공연하다
    북한출신 꽃제비 소년, 탈북해 K-팝 아이돌이 되어 미국서 공연하다
  • 한때 한국 자동차 시장을 위협한 일본 국민 자동차 회사, 완전히 망한 근황
    한때 한국 자동차 시장을 위협한 일본 국민 자동차 회사, 완전히 망한 근황
  • 일본으로 귀화해 충성을 맹세한 대한제국황실 후손의 최후
    일본으로 귀화해 충성을 맹세한 대한제국황실 후손의 최후
  • 삼풍백화점이 무너진날…그룹 회장이 기자들 앞에서 한 역대급 망언
    삼풍백화점이 무너진날…그룹 회장이 기자들 앞에서 한 역대급 망언
  • 이제 中 미세 먼지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반갑지만 조금 슬픈 이유
    이제 中 미세 먼지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반갑지만 조금 슬픈 이유
  • 김건희가 면회자를 통해 남편에게 꼭 전해 달라고 한 중요 메시지 내용
    김건희가 면회자를 통해 남편에게 꼭 전해 달라고 한 중요 메시지 내용
  • “드디어 돌아온 다마스” 터보 엔진에 4륜 구동까지 갖췄다!
    “드디어 돌아온 다마스” 터보 엔진에 4륜 구동까지 갖췄다!
  •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레이·캐스퍼 합쳐놨네!” 1천만 원대 SUV 스타일 경차 화제
  •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