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현대중공업에서 2000년 진수된 2만t급 컨테이너선 ‘페라린’이 24년 만에 이란 혁명수비대(IRGC)의 드론 항공모함 ‘샤히드 바게리(C110‑4)’로 재탄생했다. 퇴역 상선을 군사 플랫폼으로 개조하며 이란은 새로운 형태의 해상 전투 지형을 구축했다.
노후 선체를 활용한 ‘플로팅 아틀라스’ 전략은 해상전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한국 조선·방산 업계도 이에 대응한 전략적 준비가 시급하다.

플랫폼의 진화: 상선에서 드론 항모로
240m 길이의 상선을 개조해 강력한 해상 전투 플랫폼으로 탈바꿈시킨 바게리는 길이 180m 스키점프식 활주로와 헬기 갑판을 갖췄다. 기존 기관실과 거주구는 보존되었으며 이를 통해 유인·무인기 이착륙이 가능한 이동식 기지로 진화했다.
이란은 순항 속력 22노트, 보급 없이 4만km 작전 가능하다고 밝히며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강화된 무장력과 탑재 능력
바게리는 샤헤드‑136, 아바빌‑3, 모하제르‑6 등 드론 60대를 운용할 수 있으며 벨 412·Mi‑17 헬기와 고속정, 수중 드론도 동시에 탑재 가능하다. 30mm 함포와 CIWS, 대함 미사일로 자위 화력도 갖췄다.
하지만 서방 군사 전문가들은 레이다 반사면적이 크고 선체 자체가 노후해 대함 미사일 표적이 되기 쉽다고 우려한다.

제재 회피 전략: 중고 상선 활용 확대
이란은 제재 회피를 위해 기존 상선을 군사 장비로 개조하고 있다. 이미 컨테이너선 ‘반다르 아바스’와 유조선 등도 드론·미사일 플랫폼으로 전환됐다.
이는 저비용·저위험 방식으로 이어진 전략이지만, 노후 선체 피로, 대공방어 부재, 탄약 안전 문제 등 다수의 리스크가 존재하는 전략이다.

한국 산업에 던져진 과제
한국산 상선이 이란의 무인 드론 항모화에 활용된 사실은 국내 조선·방산 업계에 새로운 경고를 던진다. 상업용 선박도 군사 플랫폼으로 전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정부는 노후 선박 관리 및 기술 이전 통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한국 해군이 드론 탐지 레이더, 전자전 체계, 근접방어 레이저 등 대응 장비를 서둘러 준비할 것을 조언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