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산 탄약, 미국 재고로 강제 유입
한국 방산기업들은 최근 미국 국방부와 협약을 맺고 52만 톤에 이르는 탄약을 공급했다. 이 거래에서 한국은 2조 원 이상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규모는 미국이 국내에서 생산·보관하던 노후 탄약을 폐기하지 않고, 한국으로부터 받은 탄약으로 대체하는 방식이었다. 한국은 재고 보충 명목으로 원자재·생산 비용을 청구했고, 그 과정에서 이익을 남긴 구조다.

노후 탄약 폐기 비용 절감이 동기
미국은 탄약 보관 수수료와 폐기 비용 절감 차원에서 한국산 신탄약을 대량 구매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내에서 폐기해야 할 탄약량이 적지 않았으나, 관리비용이 만만치 않았다”며 “결국 국외에서 저렴하게 보충하는 쪽이 유리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시기 한국 방산기업들의 탄약 생산 물량과 수익이 급등했던 것도 이러한 거래 환경 덕분이었다.

항목별 탄약 구성과 공급 방식
공급된 탄약은 소형소총용 5.56㎜, 105㎜ 견인포, 120㎜ 박격포, 그리고 155㎜ 자주포 탄까지 다양했다. 특히 155㎜ 탄약의 경우, 우크라이나에 제공된 탄약 일부를 미국이 보충하고자 한국에서 수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거래는 “미국이 최종 사용자”라는 조건하에 이뤄졌으며, 한국 정부는 해당 조건을 명확히 지켰다고 밝혔다. 다만, 실제 사용하는 곳은 우크라이나인 만큼 우회 지원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국 방산기업, 공급수익 빅히트
52만 톤은 중간 규모 국가간 무기 거래 기준으로는 대형 계약에 해당한다. 한국 기업은 생산단가와 수송료, 보관료 등을 포함해 차익을 남겼다.
특히 **풍산(Poongsan)**과 PMC Ammunition 등의 회사는 수요 증가에 따라 부품·재료 조달, 생산라인 확대, 인건비 등에서 매출·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곧 해당 기업들의 주가 상승 및 국가 방산 수출 실적 상승으로 이어졌다.

방산 수출 구조와 이익 배분 Mechanism
한국의 방산업계는 이 거래를 통해 용이한 수익 모델을 확보했다.
- 국제 정부 간 협상: 미국 국무·국방부와 직접 계약
- 다단계 수출 구조: 한국 기업 → 미국 정부 → 실사용지는 불명 또는 우크라이나
- 이익 창출 구간: 생산단가와 폐기 절감 비용의 차익, 운송·보관비 포함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러한 구조는 국가의 외통상 정책과 연계돼 있으며, 유사 계약은 향후 다른 동맹국과도 추진 가능하다.

수출인가, 전략인가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52만 톤 탄약과 그로 인한 2조 원대 수익은 상징적 사건이다. 이는 곧 한국이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전략적 역할 기반을 닦은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향후 유사 사례에서 투명성 확보와 국제 정치적 책임을 어떻게 관리하느냐도 중요한 과제로 남을 것이다. 한국 방산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조명한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