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Discovery Chepe
한번 보면 절대 잊혀지지 않은 강렬한 카리스마와 비주얼을 자랑하는 고양잇과 동물이 있습니다. 보다 더 정확하게는 최강의 고양잇과 맹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다른 맹수와 달리 약 20cm에 달하는 긴 송곳니를 가지고 먹잇감을 확 물어 그 자리에서 바로 제압하고 죽이는 이 맹수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Discovery Chepe
지구상에서는 약 4000만 년 전에서 1만 년 사이 살았지만 오늘날에는 멸종돼 더 이상 볼 수 없는 고양이과 동물로 긴 송곳니를 가졌으며 거대한 고양잇과 맹수로 통하는 이 동물은 검치호랑이라고 합니다.
아프리카와 유럽, 아메리카 등지에서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고양잇과 맹수 검치호랑이(劍齒虎, Saber-toothed tiger)는 우리가 알고 있는 호랑이와는 전혀 다른 계통인데요.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The Telegraph
송곳니가 구부러진 칼처럼 생겼다고 해서 날이 휘어진 검을 뜻하는 세이버(Saber)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검치호랑이라고 이름이 붙어졌죠.
검치호랑이는 최대 28cm에 달할 정도로 날카로운 송곳니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 송곳니로 검치호랑이는 먹잇감의 목이나 경동맥을 단숨에 물어서 숨통을 끊어 놓는다고 합니다.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Sergio De la Rosa
보기만 해도 온몸에 소름이 쫙 돋을 정도로 날카롭고 긴 송곳니를 가진 검치호랑이는 강력한 앞다리로 먹잇감을 제압한 뒤 급소를 공격하는 전략으로 사냥해왔다고 하는데요.
그동안 검치호랑이는 들판과 같은 초원에서 살며 말이나 들소 같은 초식 동물들을 잡아 먹으며 살아왔다고 알려졌지만 사실은 숲속에 살며 작은 동물들을 먹고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뜨거운 감자가 되기도 했죠.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True Wild Life
검치호랑이의 주요 종은 스밀로돈속(Smilodon)에 속합니다. 특히 이 종에는 3종이 알려져 있는데요.
주로 북아메리카에 서식했으며 송곳니가 작은 스밀로돈 그라실리스(Smilodon gracilis),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모두에서 발견된 스밀로돈 파탈리스(Smilodon fatalis), 가장 크고 가장 강인한 스밀로돈 파퓰레이터(Smilodon populator) 3종입니다.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Carnegie Museum of Natural History
송곳니 이외에도 검치호랑이는 근육질에 강한 동물이며 뒷다리는 강해서 먹잇감 위로 뛰어올라 쓰러 뜨릴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죠.
이처럼 최강의 고양잇과 맹수로서 위상을 드높였던 검치호랑이는 북아메리카에서 유래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쪽으로 확장, 남아메리카까지 확장하게 됩니다.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Britannica
고양잇과 동물이 아메리카 대륙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광활한 영토에서 살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주로 대형 포유류를 잡아 먹는 최상위 포식자였던 검치호랑이는 안타깝게도 멸종하게 됩니다. 멸종한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를 꼽았습니다.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A-Z Animals
마지막 빙하기 말에 기후와 서식지 변화로 인해 먹이가 사라졌고 곰이나 늑대와 같은 다른 포식자의 출현으로 인해 먹이 경쟁 심화 그리고 질병 등의 유발로 검치호랑이 개체수가 급감하다 못해 멸종에 이르렀다는 분석입니다.
호랑이와 전혀 다른 종으로 날카롭고 거대한 송곳니로 먹잇감을 사냥해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던 검치호랑이.
20cm 달하는 긴 송곳니 자랑하는 고양잇과 맹수 / Extinct Animals
초원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검치호랑이는 멸종했지만 초원에서 초식동물을 사냥한 코요테나 회색 늑대는 대부분 살아남았는데요. 과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어쩌면 검치호랑이의 멸종은 지구에 살고 있는 생명체의 연약함과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