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연해주에 대거 파견된 북한 노동자, 국제 질서 흔드는 ‘새 외화벌이’
연해주에서 포착된 북러 경제·노동 협력의 움직임
2025년 러시아 극동 연해주 대표단이 대대적으로 북한을 방문하면서, 두 나라의 교류가 한층 심화되고 있다. 연해주 올레그 코제먀코 주지사와 북한 윤정호 대외경제상이 경제 협력 방안 논의를 공식화하자, 그 이면의 의도 특히 해외 노동자 추가 파견이 핵심 의제로 부상했다.

실제 연해주는 러시아 내에서도 노동력 부족이 심각한 곳이다. 청년층은 모스크바 등 대도시로 빠져나가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까지 대량의 러시아 인력이 전선에 투입된 탓에 건설, 농업, 제조 등 산업 전반에서 인력난이 극심하다. 북한은 강도 높은 국제제재로 외화벌이 수단이 절박해진 상황이고, 러시아는 노동력 확보가 급선무다. 양국의 이해관계가 정확히 맞아떨어진 시점이다.

북-러 간 경제·노동 교류 논의의 현실
- 실질적 논의 주제: 무역, 관광, 농업, 유학생 파견, 노동자 파견 등 다양한 경제협력
- 외화벌이 목적의 북한 근로자 추가 파견, 농장용지 제공 등 파격 조건까지 검토
- 북한 농민에 대한 러시아 농업용지 제공 구상, 관광객 유치 등 입체적 교류

노동자 대거 파견, 왜 딱 걸렸나
한국 정보당국은 이미 북한의 대러 노동자 파견 추진 정황을 포착했다. 국가정보원 등은 최근 북한이 러시아를 대상으로 노동자 추가 파견에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전담 감시 체계를 가동 중이다.
특히 러시아 연해주 주지사는 북한 방문 직전 현지 언론에서 노골적으로 노동자 협력, 관광, 농업동맹 의제를 말씀하며 의도를 전면에 드러냈다. 회담 직후 수면 위로 떠오른 노동자 파견 카드와 경제 교류는 단순한 외교적 신호를 넘어 사실상 ‘불법적인 국제의를 알면서도 강행’하는 신호탄이었다.
- 러시아는 인력 확보, 북한은 외화
- 국제적 대북제재 위반, 양국 모두 ‘눈치보지 않겠다’는 태도로 전환

유엔 안보리 결의와 국제질서의 균열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97호는 북한 해외 노동자의 송출과 고용을 전면 금지했다. 해외 외화벌이, 무기·핵 개발 재원을 옥죄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러시아와 중국 등은 그동안 송환 의무 자체를 미뤘고, 북한은 각종 우회 경로로 노동자 송출을 중단 없이 추진해왔다.

불법 파견이 장기화될 수밖에 없는 구조
- 러시아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임에도 오히려 결의를 위반
- 현지 건설업·농장·북한 식당 등 노동자 고용, 명목상 ‘유학생·견습생’ 신분으로 위장하는 케이스까지 다수
- 북한은 해외노동자 송출이 핵심 외화벌이 및 정권 유지의 실질 근간

북러 노골적 결탁, 국제제재 균열의 본보기
2025년 북러 간 노동자 대거 파견 및 경제 교류는 단순한 경제협력 수준을 넘어, 국제질서의 근간인 유엔 제재 시스템 자체를 공개적으로 거스르는 사례다. 단거리 무기 거래, 실전적 군사협력, 노동자 송출·외화벌이 등 다양한 분야의 불법–편법 거래가 결합하며, 국제사회의 집단적 대응체계마저 무력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북한 노동자의 러시아 파견은 단순 인력수급이나 외화 송금 이상의 전략적 파장 즉, 한반도 내 안보·경제·외교 구조 전체를 흔드는 새로운 현상임이 명확하다. 현 시점에서 실질적 제재 수단을 갖지 못하는 국제사회가 이 흐름을 어디까지 견제할 수 있을지, 더욱 복합적인 감시와 대안이 절실한 시기에 놓여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