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자동차 사고 후 수리를 맡겨본 경험 있으신가요? 당연히 ‘순정부품’으로 교체하는 게 마음 편하고 당연하다고 생각하셨을 텐데요. 저 역시 그랬습니다. ‘내 차는 소중하니까’ 하는 마음에 조금 비싸더라도 늘 순정부품을 고집했죠.
그런데 내년 8월부터는 이런 익숙한 공식이 깨질 것 같습니다. 우리가 내는 자동차보험의 수리비 지급 기준이 크게 바뀌기 때문입니다.
2025년 8월 16일부터, 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이 개정됩니다. 가장 큰 변화는 사고 차량을 수리할 때 ‘품질인증부품’ 사용이 기본 원칙이 된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지금까지는 보험사가 ‘순정부품’ 가격을 기준으로 수리비를 지급했다면, 앞으로는 ‘품질인증부품’ 가격을 기준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만약 내가 “그래도 순정부품으로 교체하고 싶다”고 한다면? 품질인증부품과의 가격 차액은 이제 우리, 즉 차주의 몫이 됩니다.
품질인증부품, 믿을 수 있을까?
많은 분들이 ‘대체부품’이라고 하면 품질이 떨어지거나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계신데요. 사실 ‘품질인증부품’은 국토교통부가 순정부품과 성능, 품질이 거의 동일하다고 인증한 부품을 말합니다.
보험개발원의 충돌 안전성 테스트에서도 순정부품과 동등한 ‘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하니, 안전성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조금 내려놓으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가격은 보통 순정부품보다 30~40% 정도 저렴하다고 알려져 있고요.
왜 갑자기 바뀌는 걸까?
금융당국은 이번 개정이 과도한 수리비 지출을 줄여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합니다. 손해율이 안정되면 장기적으로는 우리가 내는 보험료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담겨있죠.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입니다. 내 선택권이 줄어든다는 느낌, 그리고 혹시 모를 중고차 값 하락에 대한 걱정도 무시할 수는 없으니까요.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는 만큼, 앞으로는 자동차 사고 시 수리 과정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무조건 정비소에 맡기기보다는, 내 보험 약관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어떤 부품으로 수리할지, 추가 비용은 없는지 꼼꼼히 따져보는 지혜가 필요해졌습니다.
변화는 언제나 낯설지만, 미리 알고 대비하면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내 자동차보험에 대해 한번 더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동차보험 #대체부품 #품질인증부품 #2025년자동차보험 #자동차수리비 #자동차보험표준약관 #금융감독원 #자동차상식 #자동차뉴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