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심도 터널 붕괴, 사고는 있었지만 말은 없었다
부산 만덕동과 해운대 센텀을 잇는 대심도 도시고속화터널 공사 현장에서 대규모 토사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가 발생한 시점은 7월 25일 0시 40분경. 무너져 내린 토사량은 25톤 트럭 기준 40대 분량으로, 공사 현장 내부에서 순식간에 지하 구조가 무너진 것이다.
그러나 사고의 심각성과 달리 부산시가 언론에 사고 사실을 밝힌 건 사흘이 지난 7월 28일. 시민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사이, 터널 위를 달리던 부산지하철 3호선만 조용히 속도를 낮췄다.
📉 사고 은폐 논란, 3일간 시민은 아무것도 몰랐다

🚇 지하철도 흔들렸다, 운행 지연의 실체
토사 붕괴의 여파는 지하철 3호선 운영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실제 사고 지점 위를 통과하는 3호선 미남~만덕역 구간은 기존 시속 70km에서 시속 25km로 감속 운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열차 운행 시간이 구간당 2분 30초가량 늘어나 시민들은 출퇴근길 불편을 겪고 있다. 그러나 부산시는 감속 사유를 바로 공개하지 않았고, 그 사이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는 “철도 이상이 있는 거 아니냐”는 불안도 퍼졌다.
🕑 지하철 속도 줄고 시민 불안 증폭, 늑장 설명으로 신뢰 추락

🧱 지반 침하 없다는 말, 정말 믿을 수 있을까?
부산시는 뒤늦게 언론 브리핑을 열고 “지상 조사 결과, 지반 침하나 표면 구조물 이상은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사고 직후 응급 대응에 불과하며, 실제 지하 안전성을 보장할 근거는 부족하다.
시는 지하 10m, 30m, 50m 지점에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반층 변화를 추적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사고 후 대응일 뿐 사전 예방은 실패한 셈이다. 특히 터널 천장 위 붕괴 지점의 ‘빈 공간’을 찾아 시멘트로 채워 넣는다는 계획 역시 사후 봉합식 대응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 사고 이후 복구 집중, 근본 원인 조사와 사전 감지는 부족

🏗 민자 사업이 만든 구조적 압박
이번 사고가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해당 터널이 7,832억 원 규모의 민자 사업이라는 점이다. 민간 자본이 투입된 만큼 완공 시기와 예산 효율에 대한 압박이 있을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공사 품질이나 안정성 확보가 후순위로 밀릴 우려가 크다.
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는 총 연장 9.62km, 지하 60m 깊이에 4차로로 설계된 대형 프로젝트다. 2019년 착공 당시부터 대심도 구조물의 위험성은 지적됐지만, 추진은 강행됐다.
📍 민자사업의 속도전, 공공안전이 뒷전으로 밀렸나?

🧾 롯데건설과 부산시, 책임은 어디로?
사고 발생 후 현장은 롯데건설과 부산시의 협조 아래 긴급 통제됐다. 한국토목학회 자문단이 파견돼 사고 원인과 복구 방안을 조사하고 있으며, 공식 결과는 8월 2일경 나올 예정이다.
하지만 사고 발생 3일 후에야 이를 공개하고, 지하철은 조용히 속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무던히 넘기려 했다’는 비판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를 알리지 않은 점은 정보 공개의 원칙을 위배한 것이며, 이에 대한 공식 사과나 책임 규명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지하철 감속→정보 은폐→사후 대응, 시스템 부실 드러난 셈

✨ 도시를 잇는 터널, 불안도 함께 연결돼선 안 된다
터널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관문이어야 한다. 그러나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터널은 연결이 아닌 위협일 뿐이다. 이번 만덕~센텀 구간 붕괴 사고는 단순한 현장 이슈가 아니라, 대규모 민자사업의 속도전과 행정의 정보 은폐가 결합된 구조적 문제다.
특히 시민의 이동 경로인 지하철 위에서 벌어진 사고라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다. 부산시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사전 경고 시스템’, ‘사고 즉시 공개’, ‘공사 품질 실명제’ 같은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 도시의 안전은 공사비보다, 완공 일정보다 더 중요한 가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