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부산 터널이 붕괴됐다..” 부산시가 꼭꼭 숨기다가 사고 발생 4일 뒤에 언론 공개한 이유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 대심도 터널 붕괴, 사고는 있었지만 말은 없었다

부산 만덕동과 해운대 센텀을 잇는 대심도 도시고속화터널 공사 현장에서 대규모 토사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가 발생한 시점은 7월 25일 0시 40분경. 무너져 내린 토사량은 25톤 트럭 기준 40대 분량으로, 공사 현장 내부에서 순식간에 지하 구조가 무너진 것이다.

그러나 사고의 심각성과 달리 부산시가 언론에 사고 사실을 밝힌 건 사흘이 지난 7월 28일. 시민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사이, 터널 위를 달리던 부산지하철 3호선만 조용히 속도를 낮췄다.

📉 사고 은폐 논란, 3일간 시민은 아무것도 몰랐다


🚇 지하철도 흔들렸다, 운행 지연의 실체

토사 붕괴의 여파는 지하철 3호선 운영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실제 사고 지점 위를 통과하는 3호선 미남~만덕역 구간은 기존 시속 70km에서 시속 25km로 감속 운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열차 운행 시간이 구간당 2분 30초가량 늘어나 시민들은 출퇴근길 불편을 겪고 있다. 그러나 부산시는 감속 사유를 바로 공개하지 않았고, 그 사이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는 “철도 이상이 있는 거 아니냐”는 불안도 퍼졌다.

🕑 지하철 속도 줄고 시민 불안 증폭, 늑장 설명으로 신뢰 추락


🧱 지반 침하 없다는 말, 정말 믿을 수 있을까?

부산시는 뒤늦게 언론 브리핑을 열고 “지상 조사 결과, 지반 침하나 표면 구조물 이상은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사고 직후 응급 대응에 불과하며, 실제 지하 안전성을 보장할 근거는 부족하다.

시는 지하 10m, 30m, 50m 지점에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반층 변화를 추적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사고 후 대응일 뿐 사전 예방은 실패한 셈이다. 특히 터널 천장 위 붕괴 지점의 ‘빈 공간’을 찾아 시멘트로 채워 넣는다는 계획 역시 사후 봉합식 대응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 사고 이후 복구 집중, 근본 원인 조사와 사전 감지는 부족


🏗 민자 사업이 만든 구조적 압박

이번 사고가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해당 터널이 7,832억 원 규모의 민자 사업이라는 점이다. 민간 자본이 투입된 만큼 완공 시기와 예산 효율에 대한 압박이 있을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공사 품질이나 안정성 확보가 후순위로 밀릴 우려가 크다.

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는 총 연장 9.62km, 지하 60m 깊이에 4차로로 설계된 대형 프로젝트다. 2019년 착공 당시부터 대심도 구조물의 위험성은 지적됐지만, 추진은 강행됐다.

📍 민자사업의 속도전, 공공안전이 뒷전으로 밀렸나?


🧾 롯데건설과 부산시, 책임은 어디로?

사고 발생 후 현장은 롯데건설과 부산시의 협조 아래 긴급 통제됐다. 한국토목학회 자문단이 파견돼 사고 원인과 복구 방안을 조사하고 있으며, 공식 결과는 8월 2일경 나올 예정이다.

하지만 사고 발생 3일 후에야 이를 공개하고, 지하철은 조용히 속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무던히 넘기려 했다’는 비판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를 알리지 않은 점은 정보 공개의 원칙을 위배한 것이며, 이에 대한 공식 사과나 책임 규명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지하철 감속→정보 은폐→사후 대응, 시스템 부실 드러난 셈


✨ 도시를 잇는 터널, 불안도 함께 연결돼선 안 된다

터널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관문이어야 한다. 그러나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터널은 연결이 아닌 위협일 뿐이다. 이번 만덕~센텀 구간 붕괴 사고는 단순한 현장 이슈가 아니라, 대규모 민자사업의 속도전과 행정의 정보 은폐가 결합된 구조적 문제다.

특히 시민의 이동 경로인 지하철 위에서 벌어진 사고라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다. 부산시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사전 경고 시스템’, ‘사고 즉시 공개’, ‘공사 품질 실명제’ 같은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 도시의 안전은 공사비보다, 완공 일정보다 더 중요한 가치다

관련 기사

author-img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CP-2025-0005@fastviewkorea.com

[AI 추천] 랭킹 뉴스

  • 너무 예쁜 이 일본 국민 여동생은 현재 한국에 거주하며 살고 있습니다
  • 왜 안보이나 했더니 좋은 남편 만나 지방으로 내려가 살고있는 여배우
  • 브라질에서 강도 만나고 고생해 한국에 돌아와 배우로 성공한 여배우
  • "세탁기에 물티슈 2장만 넣어 보세요" 세탁기 먼지가 싹 사라졌습니다
  • ''이걸'' 넣고 과일을 담궈놨더니 잔류농약이 떼로 물들었습니다..
  • 이 ''음식'' 아침에 꼭 드세요, 샐러드 먹는 것보다 5배는 좋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 외신도 ‘극찬’ 이번 한국의 관세 협상을 성공을 보는 이유
    외신도 ‘극찬’ 이번 한국의 관세 협상을 성공을 보는 이유
  •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이건 한국이 이겼다? 한국과 일본 누가 미국과 관세 협정을 더 잘했나?
  •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사실상 한국의 울며 겨자 먹기다…이번 관세 협상을 실패로 보는 이유
  • 외신도 ‘극찬’ 이번 한국의 관세 협상을 성공을 보는 이유
    외신도 ‘극찬’ 이번 한국의 관세 협상을 성공을 보는 이유
  •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보급형 랜드로버 나온다!” 디펜더 그대로 카피한 SUV 티저 공개
  •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코나 괜히 샀나” 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쉐보레 볼트’ 재출시 확정!
  •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