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K9 네트워크, 폴란드서 다시 가동
지난 4월 8일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린 K9 유저클럽은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운영국인 폴란드, 노르웨이, 핀란드, 에스토니아, 호주, 루마니아, 한국 등 7개 국가 외에 미국과 스웨덴이 참관국으로 깜짝 등장해 주목받았다

이번 행사에서는 운용과 정비 노하우 공유, 부품 공급방안 논의, 폴란드 HSW 생산시설과 야전 부대 시찰 등이 이뤄졌으며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와 체결한 4천억 원 규모 부품 계약이 행사 의미를 상징적으로 한층 끌어올렸다

불참한 튀르키예와 인도의 전략적 계산
튀르키예와 인도가 참석하지 않은 상황이 또 하나의 전략 코드다 튀르키예는 K9을 ‘피르티나’라는 이름으로 생산하지만 러시아와의 외교적 관계를 중시하면서 나토 내 균형 외교를 고수 중이다 참여 시 중재자 역할 훼손 등 부정적 파장 우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국 생산 비중을 높여 한국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 기조도 불참 이유 중 하나 다 인도 역시 자주포를 ‘바즈라’로 현지화해 운용 중이며 아직도 냉전 시대 비동맹노선을 고수하며 외교적 균형을 중시한다 이번 유저클럽에 참여 시 서방 진영 쏠림 논란을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분석이다

미국의 참관, 중대한 전략적 메시지
미국의 유저클럽 참관 참가 결정은 매우 상징적이다 자국 주력 자주포 M109A7 유지에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자주포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미군 내에서도 화포 시스템 전환 논의가 활발하다 ERCA 장거리 자주포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미국은 K9의 궤도형 플랫폼과 대응 능력, 그리고 유럽 동맹국들의 인식 변화를 실질적으로 파악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NATO 내 상호 운용성과 조율 가능성을 검토 중인 미국 입장에서는 폴란드·핀란드·에스토니아·노르웨이 등 주요 동맹국 대비 동태를 직접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스웨덴의 관심, 북유럽 방산 협력 가속
스웨덴은 자주포 시스템인 Archer를 보유하고 있으나 NATO 가입 이후 동맹 내 조화에 주목한다 이번 참관은 북유럽 지역 내 궤도형 자주포 플랫폼 운용 사례를 살펴보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핀란드·노르웨이·에스토니아가 K9을 채택 중인 상황에서 스웨덴 방산·군 관계자들이 K9 기술과 운용 데이터를 직접 검토하려는 전략적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미래 기술과 서비스 경쟁력, K9 뷰포인트
K9 유저클럽 현장에서 한화는 차기 모델 개발 로드맵을 공유했다 K9A2는 포탑 자동화로 승무원 수를 5명에서 3명으로 줄이되 사격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고, K9A3는 58구경 포신으로 사거리 확장, AI 기반 자율 주행 및 사격 기능을 장착할 예정이다 추가로 유럽 예비부품센터 설립과 Tomms 기반 유지보수 서비스 계획도 발표됐다 이는 단순 장비 수출이 아닌, 종합 방산 생태계 구축을 선보이는 전략적 접근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