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위대의 독도 침공 시나리오·단계별 전략
한국군은 2021년 12월, 일본 자위대의 독도 침공을 가정한 1~3단계 시나리오를 포함한 내부 참고 문건을 국회에 보고한 바 있습니다. 자위대 출신 무기 전문가의 분석을 바탕으로 작성된 이 자료는 실제 작전 계획은 아니지만, 잠재적 위협을 대비한 시나리오 연구로 내부 공유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독도 침공을 위한 단계별 가정
- 1단계: 사이버전을 통해 ‘독도 봉쇄’ 여론을 조성하고, 선견(先遣) 부대를 독도 동도에 은밀히 침투시켜 상황 정밀 파악 및 점령 준비.
- 2단계: 이지스함과 잠수함 2~4척, F‑15 계열 전투기, 조기경보통제기(E‑767), 전자정보수집기(EW) 등을 동원해 제공권·제해권 확보.
- 3단계: 8900t급 오스미급 수송함, 치누크 헬기(CH‑47), 공기부양정(LCAC) 등을 동원해 동도에 2개 소대 상륙, 서도 주민 숙소 인근에 별도 반 소대 상륙계획 등도 포함되었다.

한국군 대응 전력 분석과 전략적 활용
국방부는 이 시나리오 문건에서 한국군의 대응 전력으로 F‑15K 전투기, 이지스함, 현무 탄도미사일 등 육·해·공군의 주요 전략 자산 정보를 포함했으며, 이를 통해 신규 전략 자산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문건 작성 당시 국회에 제출된 이유도 바로 이 같은 무기 체계 갱신 시급성을 설득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다만 국방부는 본 문건이 공식 작전 계획이 아닌 내부 참고자료라고 명확하게 선을 그었으며, 실제 일본 자위대의 공식 문서에 기반한 것은 아님을 재차 설명했습니다.

일본 측 반응과 외교적 파장
한일 양국 간 외교적 파장은 곧바로 이어졌습니다. 일본 기시 노부오 방위상은 해당 언론 보도에 대해 “독도는 역사적·국제법적으로 일본 고유의 영토”라며 강하게 항의했고, 한국 무관을 통해 사실관계 설명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해당 보도를 사실 확인 중이라며 대응에 유보적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자위대의 실제 의도는? 민간 분석이 전부일까
이 문건은 자위대의 공식 작전계획은 아니며, 자위대 내부 문건이라기보다는 자위대 출신 연구자나 전문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민간 참조 보고서에 가깝습니다. 특히 자위대의 실제 공식 전략 문서에서는 독도 침공에 대한 정례적 계획이 확인된 바 없고, 단지 “만약의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연구에 불과합니다.
다만 국방부는 이 같은 시나리오 기반 자료가 실제 작전계획과 완벽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문건이 전략 자산 확보를 위한 목적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독도 분쟁의 전략적 함의와 미래 전망
독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군사 시나리오는 한일 양국 모두에게 경각심을 높입니다. 자위대 출신 전문가가 가정한 시나리오조차 국회 보고 자료로 활용된다는 사실 자체가 현재 한반도 안보 현실에서 일본의 역할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반영합니다. 이는 단순 명목상의 담론을 넘어, 전력 현대화와 경계 능력 강화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과제임을 보여줍니다.
아울러 한반도 중심에서 벌어지는 안보 협력과 외교 갈등력 해소 과정에서 투명한 정보 공유와 외교적 안정 유지가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공식 문서는 아니나 전략적 참고 문건의 의미
- 해당 문건은 일본 자위대의 공식 작전 문건이 아니라, 일본 군 관련 전문가에 의해 구성된 독도 침공 시나리오 참조 자료입니다.
- 한국군은 이를 분석하여 한국군의 대응 역량 강화 필요성을 국회에 알렸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전략 자산 투입 방향을 설명했습니다.
- 일본 측은 해당 보도에 반발했으며, 외교적으로도 민감한 사안으로 부각되었습니다.
- 향후 지역 안보 환경의 불확실성 확대 속에서, 이러한 분석적 시나리오는 한편으로 예방적 안보 대비 수단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갖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