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손 내밀었지만 “절대 마주 앉을 일 없다”는 북한 김여정의 공개 담화…남북관계 ‘막다른 골목’ 정면돌파 신호탄
“남북은 더 이상 동족 아냐”…북한 공식 라인, 대화·협력 ‘ZERO’ 선언
2025년 7월 28일, 북한 최고 권력 실세이자 사실상 대남 전략의 핵심 인물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남북관계에 관한 강경 담화를 내놨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된 메시지에서 김여정은 “남조선과 우리는 더 이상 동족이 아니며, 우리는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단언했다.
이 담화는 윤석열 정부를 대체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공식적으로 발표된 북한의 대남 입장이다. 사실상 남북 간 제로 컨택트(접촉 제로) 원칙을 대내외 천명한 것이며, 이재명 정부의 남북대화·관계 복원플랜이 초장부터 거센 현실 장벽에 직면했음을 보여준다.

“동족 의식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달라진 북한 대남 전략
지난 수년간 북한은 각종 공식·비공식 경로의 담화, 대남 메시지에서 ‘한민족’, ‘동족’, ‘민족공조’와 같은 전통적 수사를 점점 빼기 시작했다. 그 흐름이 2024년 ‘조한(조선과 한국)관계’라는 신조어 정착, ‘적대적 두 국가’ 공식화로 이어져왔다.
김여정 부부장의 이번 담화는 이 기조를 다시 명확히 강조하며, “‘민주’를 표방하든 ‘보수’의 탈을 쓰든 한국(남조선)은 절대로 화해와 협력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중대한 역사적 결론에 도달했다”, “동족이라는 표현에 더 이상 구속되지 않겠다”는 선언을 반복했다.
이는 이재명 새 정부의 남북관계 정책에 대해, ‘정권이 누구든, 진보든 보수든 남측에는 어떤 기대도 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남북관계, 민족공조 같은 ‘민족 내부 대화’의 프레임 자체를 부정함으로써, 2020년대 남북관계에서 이미 뿌리 깊게 자리잡혀온 탈민족화·대외국가화 흐름을 공식화한 셈이다.

이재명 정부 남북관계 첫 시험대에서 ‘정면 거부’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기간부터 집권 후 첫 100일 내 남북 접촉 재개, 민생협력, 인도적 지원, 비핵화-경제교류 동시 추진 방안 등 전방위적 ‘관계 복원론’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북한은 이번 담화에서 “어떤 정권이 들어서도 남측은 똑같다”, “우리 전략적 판단에는 변함없다”며 선제적 ‘대화 거부’를 내걸었다.
북한이 직접 “회의적 결론” “역사적 진실”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남한 새 정부의 태도, 제도, 제안에 선착적으로 반응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신호이자, 전향적 관계개선 제안을 차단하는 심리적 선긋기다.

배경: 왜 북한은 대화 가능성마저 원천 차단에 나섰나
① 한미동맹 강화·확장억제 강화에 대한 경계심
윤석열 정부에 이어 이재명 정부 또한 ‘확장억제(미국의 핵우산 한반도 적용 확대)’ 기조를 유지·강화하고 있다.
북한 입장에서 한미 확장억제, 미 전략자산 순환전개, 대북 제재포위망 강화 흐름이 변하지 않는 한, 남한 쪽이 대북 유화 제스처를 취하더라도 신뢰할 이유도 없고, 기본 구조가 달라지지 않는다고 본다.
② 국제정세 변화, ‘북-중-러’ 협력 심화와 남북거리 심화
2024년 이후 북-중-러 3각 군사·경제협력이 급진전되는 동안, 남북은 각자 오히려 ‘국가 대 국가’ 대립구도에 더 근접해 왔다. 남한은 EU·미·일 협력, 북한은 중·러 연계로 전략을 강화하면서 민족공조나 ‘동질성’은 오히려 뒷전이 됐다.
③ 북한 내부 결속 및 대외 ‘큰 그림’에 따른 진영강화
김여정·김정은 체제는 외부와의 통제·갈등 고조 전략으로 내부 결속력을 높이고, 정권 안정성을 우선하는 노선을 고수하고 있다. 대남 관계를 ‘적대적 관리’로 전환함으로써, 군사력, 생존논리, 그리고 핵·미사일 전략의 정당화를 더욱 공고히 하는 것이다.

한때는 동포였으나, 지금은 ‘적대적 두 국가’…남북 사이, 사실상 “공존은 있지만, 대화는 없다”
이처럼 김여정 담화가 보여준 남북관계의 모습은 “더 이상 동족도, 남북대화의 대상도 아니다”라는 비관적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
모든 남북 정권주체, 진보·보수 가릴 것 없이 북한은 남한 정부를 “영원한 상대국, 협상 대상 아닌 ‘적대적 타자’”로 공식화했다.
앞으로 남북관계 개선은 과거 ‘민족공조-평화 무드’ 복원이나 정상회담 재개에 기댈 수 없는 구조, 즉 장기적 냉각→상황 변화 때 한시적 협상 정도에 머무를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한반도 정세는 명확하게 ‘동질성-통일 서사’가 아니라 철저히 국가간 이해와 힘을 중심으로 한 21세기 방식의 신냉전·대치 구조로 굳어져가고 있다.
결국 ‘통일의 꿈’에 앞서 현실적 안보, 국제협력, 내부 결속과 ‘삶의 평화’로 정책축이 완전히 이동하는 시대를 맞고 있다는 점에서, 김여정 담화는 남북 양측 모두에 결정적 분수령으로 기록될 사건임이 분명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