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 최고 등급인데도 거절당하는 이유는 금리 아닌 다른 규제 탓
신용 등급 1등급은 과거라면 대출 ‘확정’ 수준이었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대출 심사는 단순한 신용 점수가 아닌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능력,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금리 변동 위험, 부채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신용 등급만 높다고 무조건 대출이 승인되는 시대는 끝난 지 오래다.

DSR 규제 강화로 민감 금융 이용자도 줄어들었다
2025년부터 국내 금융당국은 DSR 평가 기준을 더욱 엄격히 조정했다. 기존에는 연소득 대비 대출액만 보았지만, 이제는 모든 금융 상품의 원리금 상환 부담까지 포함해서 심사한다. 그 결과 연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일정 수준을 넘는 사례는 신용 등급이 높아도 승인 대상에서 제외되는 일이 빈번해졌다.

경기 둔화와 대출 리스크 증가, 은행도 조심스레 문을 닫는다
한국 주요 시중은행의 위험 대출 비중은 2024년 말부터 꾸준히 상승 중이다. 국제회계기준(IFRS9)의 단계 2·3 분류 비중도 확대되며 은행 스스로 안정자본 확보에 나섰다. 이로 인해 대출 엄격 기준이 강화되고, 신용만으로는 한계가 생긴 상황이다

소득 변화나 직업 변화, 주소만 바꿔도 심사 탈락 가능
은행 심사는 가입 이후 주소 변경, 직업 변경, 부채 변동 내역 등을 모두 반영해 재평가한다. 특히 자영업자, 프리랜서, 일용직 등 변동 소득자는 신용이 좋아도 심사 대상에서 빠지는 경우가 많다. 신용점수와 별개로 ‘소득 안정성’을 중시하는 최근 흐름 때문이다.

중소형 직장인도 ESG·규제탓에 대출 제한 늘어났다
정규직 고신용자도 업무 자금이나 중소기업 대출은 거절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금융당국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스트레스 테스트 규제 강화를 통해 은행의 ‘무분별 대출’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결국 돈줄은 있어도 은행 문은 쉽게 열리지 않는 경직된 환경이 형성된 것이다

은행이 대출 안해주는 진짜 이유, ‘신용 아닌 구조’ 때문이다
신용 등급이 아무리 좋아도 DSR 규제, 소득 조건 변화, 금융시장 위험 확대, 규제 강화라는 복합 요소가 맞물리면 대출은 거절된다. 대출 심사 기준이 신용 중심에서 ‘리스크 중심’으로 전환된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해결책은? 제도 이해+채널 다각화
먼저 정부 주택금융공사나 서민금융진흥원 같은 공적 금융기관의 대출 포인트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주택연금, 정책모기지, 신용대출 연계상품 등 구조에 맞는 채널로 넘어가는 게 중요하다. 대출 심사 기준을 미리 이해하고, 개인별 맞춤 금융 설계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