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납골당 회원증서가 대출 담보가 된다는 현실
최근 일부 납골당에서 회원증서를 담보로 대출해 주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반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해당 증서를 담보로 잡고 최대 수백만 원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구조다. 특히 급전이 필요한 고령층이나 은퇴 직전 가계에서는 쉽게 접근하게 되는 형태다.

대출 한도는 수백만 원 수준인데 이자율은 시중보다 훨씬 높다
대출 금액은 보통 300만 원에서 600만 원 선이지만, 이자율은 연 15~20%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는 아예 사채업자와 결탁해 더 높은 금리를 적용하기도 한다. 당장은 증서를 담보로 돈을 쓸 수 있지만, 연체가 시작되면 증권 몰수와 더불어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어 위험이 크다.

법적 계약서조차 가짜…취소 가능한 납골당인데도 돈은 못 돌려받는다
실제 사례로는 납골당 회원 자격이 최소화 반환 조항이 있어야 하지만, 일부 계약서는 “언제든 해지 가능”이라고 적혀 있으면서 실제로는 해약이나 환불이 불가능한 구조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는 원금과 이자를 모두 갚지 못해 신용 문제까지 이어지는 사례도 있다.

사고 대체 가능한 담보는 정식 금융상품이 아니다
은행에서 다루는 정통 담보 대출과 달리, 이런 납골당 증서 대출은 비공식 경로에서 이루어진다. 금융기관의 심사와는 무관하게 진행되며, 중개 브로커가 개입되는 경우가 많다. 정식 상품이 아니기에 소비자 보호 장치도 거의 없고, 분쟁이 발생하면 대응은 오롯이 개인에게 맡겨진다.

가족도 모르게 대출 받는 노년층 사례 증가
요즘 은퇴 세대가 대출을 받기 위해 부동시킬 나라는 자존심도 있고 자녀에게 부담도 주고 싶지 않은 심리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내 자리도 팔고 싶지 않고, 수속이 복잡하면 납골당이라도…”라고 생각해 접근하다가 납골당이 아닌 어음처럼 취급돼 큰 손해를 보는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

대안은 있다: 정식 금융 채널과 상담이 핵심
납골당 담보 대출에 의존하는 대신, 정식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주택연금 상품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 기존 주택이 있으면 그 활용이 더 안전하며, 공적 금융기관이나 소비자원이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를 통해 안전한 금전 조달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