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정용진 회장의 승부수..” 백종원까지 망하기 일보직전이라는 이유

픽 이야기 조회수  


“정용진의 반값 승부수…백종원까지 휘청이는 초저가 커피의 역습, 커피판이 뒤집혔다”

“싼 커피 아니면 안 산다”…변한 소비자가 만든 ‘가격 파괴’의 시대

2024~2025년 대한민국 커피 시장에 가장 극적인 변화는 소비자 인식에서 출발했다. 코로나19 이후 경기침체와 고금리, 외식물가 폭등이 이어지면서, ‘커피는 사치’라는 의견도 늘어났다.

동시에 하루 한두 잔 이상 커피를 마시는 인구(20~50대 직장인 및 학생)의 커피 수요 자체는 꾸준히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가했다. 하지만 동일한 품질, 비슷한 맛이라면 ‘더 싸게, 더 많이’가 소비자의 새 기준이 되었다.

“커피는 무조건 대용량, 2천원이면 최고.” “스타벅스 한잔 값으로 두잔 마신다.”
이러한 인식 변화 속에서 민감하게 반응한 곳이 바로 메가커피·컴포즈커피·빽다방 등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였다.


1,000원대 커피의 반란…저가 브랜드의 도약

저가 브랜드의 성장은 단순한 가격 파괴를 넘어선 ‘대중화 대혁명’으로 평가된다. 메가커피는 아메리카노 1,500~2,000원, 아이스라떼 2,500원 안팎에 500ml가 넘는 대용량을 내세웠다. 새로 생기는 상권마다 30~50평 규모 대형 매장이 입점, 빽다방·컴포즈커피도 쏟아져 나오며 한때는 한 블록 건너 한 곳씩 보이는 ‘커피 편의점’ 시대를 열었다.

실제로 2023~2024년 메가커피는 43% 이상, 컴포즈커피는 26%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빽다방도 2024년 연 매출 약 1,600억 원, 점포수 1,600곳을 돌파하며 1,700개 돌파를 앞두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 17~20%, 신규카페 창업 중 절반 이상이 저가 프랜차이즈 브랜드로 채워지고 있다.

저가 브랜드의 성공 요인은 단지 가격만이 아니다.

  • 대형화된 매장 운영으로 원재료 대량구매,
  • 주문 자동화 설비,
  • 초고속 회전율,
  • 소형 거점 배달·픽업 스테이션 도입,
  • SNS 홍보,
  • 지역별 모델 기용 등,
    ‘물량 우위’와 ‘가격, 품질, 마케팅’ 삼위일체를 만들어 냈다.

“프리미엄만으론 안 된다”…정용진·스타벅스의 반격

프리미엄 커피의 최대 상징 스타벅스는 그동안 고급 인테리어, 한정판 굿즈, 독립 리워드 서비스, 전문 바리스타 서비스 등을 내세웠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매년 1,000억 원 이상 점포 확장, 두 자릿수 성장률을 고집했다. 하지만 2023년 하반기, ‘깊은 위기’라고 표현할 수 있는 신호들이 나타났다.

  • 신규 점포 매출 성장세 둔화
  • 5,000원대 아메리카노를 외면하는 20~30대
  • 일부 지역 강남, 시내 대형점 매출 감소
  • 대용량·저가 경쟁의 확산
    이런 변화 속에서 2024년 스타벅스는 파격적인 가격 정책을 내놓았다. 그 대표가 바로 **‘원 모어 커피’**와 **‘이브닝 이벤트’**다.

‘원 모어 커피’ 전면화…반값 전략

‘원 모어 커피’는 커피를 한 잔 구매할 때 당일 재구매 시 두 번째 커피를 60%나 할인해준다. 톨사이즈 오늘의 커피가 1,800원, 카페라떼가 2,500원이면 저가 브랜드와 맞먹거나 오히려 더 저렴하다. 기존에는 VIP 회원만 가능했으나, 회원 누구나 제공하는 파격 프로모션으로 바뀌었다. 앱 가입자만 1,400만 명으로 거의 전 고객에게 혜택이 돌아간 셈이다.


“모든 게 바뀌는 커피 시장…파격 승부수, 진짜 승자는 누구?”

2025년 현재, 커피시장은 가격·품질·경험의 3파전 양상이다.

  • 저가·대용량 양산 브랜드 : 메가커피, 컴포즈, 빽다방
  • 프리미엄·브랜드 경험 중시 : 스타벅스, 커피빈, 할리스
  • 하이브리드형 전략(프리미엄+가성비 동시 공략) : 스타벅스, 일부 다점포 매장, 편의점계 커피

정용진 회장의 승부수는 결국 스타벅스가 프리미엄 브랜드의 ‘문화와 경험’ 이미지를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가격·할인·혜택이라는 실질적 ‘무기’까지 두루 갖추는 ‘올인원 플랫폼’으로 진화하려는 시도다. 한편 백종원의 빽다방 등 저가 브랜드는 매출은 증가하지만 수익성 감소, 신규 창업 경쟁 등 불안요소가 커지는 실정이다.

가격 파괴의 끝에는 ‘누가 진짜 효율적으로 오래 살아남을 변화와 시스템, 스토리, 고객소통’을 만드는가의 싸움이 있다. 파격 승부수의 끝, 대한민국 커피 시장의 대격변은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관련 기사

author-img
픽 이야기
CP-2025-0135@fastviewkorea.com

[AI 추천] 랭킹 뉴스

  • 간헐적 단식으로 살 빼려고 하면 "오히려 요요와서" 살이 더 찌는 이유
  • 15만 원짜리 망고 빙수, 왜 더 잘 팔릴까?..유행으로 읽는 경제용어 '베블런 효과'
  • 어젯밤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 우리 삶에 어떤 영향 줄까? (자동차, 농산물 핵심 정리)
  • 경희의과학연구원, 차세대 비만·당뇨 치료제 개발 위한 3자 업무협약 체결
  • 기아 EV4 GT, 위장막 속에 숨겨진 '고성능 핫해치'의 귀환 예고
  • "다들 해외 간다더니?" 정작 직장인들이 몰린 국내 '핫플레이스 4곳'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 삼성전자 큰일났다…핵심 인력들이 퇴사해 하필 이직한다는 회사의 정체
    삼성전자 큰일났다…핵심 인력들이 퇴사해 하필 이직한다는 회사의 정체
  • 압구정 아파트 조합원들 3조원 날리게 생겼다…재건축 올스톱 ‘날벼락’
    압구정 아파트 조합원들 3조원 날리게 생겼다…재건축 올스톱 ‘날벼락’
  • 개발자 700명이 AI인것 처럼 연기하다 들통난 2조원대 사기 기업
    개발자 700명이 AI인것 처럼 연기하다 들통난 2조원대 사기 기업
  •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 “쉐보레 크루즈가 돌아왔다!” 아반떼 라이벌로 딱인데… 국내 출시는?
    “쉐보레 크루즈가 돌아왔다!” 아반떼 라이벌로 딱인데… 국내 출시는?
  • 일론 머스크, 한국에 “30조 투자 약속” 삼성·LG 동시에 잭팟 터졌다!
    일론 머스크, 한국에 “30조 투자 약속” 삼성·LG 동시에 잭팟 터졌다!
  • “경차 탈 바엔 조금 보태서 아반떼!” 그랜저·팰리세이드 제치고 1위한 이유
    “경차 탈 바엔 조금 보태서 아반떼!” 그랜저·팰리세이드 제치고 1위한 이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러시아에 이용만 당했다…전쟁이 끝나면 북한이 무조건 큰일나는 이유
  • 삼성전자 큰일났다…핵심 인력들이 퇴사해 하필 이직한다는 회사의 정체
    삼성전자 큰일났다…핵심 인력들이 퇴사해 하필 이직한다는 회사의 정체
  • 압구정 아파트 조합원들 3조원 날리게 생겼다…재건축 올스톱 ‘날벼락’
    압구정 아파트 조합원들 3조원 날리게 생겼다…재건축 올스톱 ‘날벼락’
  • 개발자 700명이 AI인것 처럼 연기하다 들통난 2조원대 사기 기업
    개발자 700명이 AI인것 처럼 연기하다 들통난 2조원대 사기 기업
  •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포르쉐 마칸 짝퉁?” 생각보다 괜찮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공개
  • “쉐보레 크루즈가 돌아왔다!” 아반떼 라이벌로 딱인데… 국내 출시는?
    “쉐보레 크루즈가 돌아왔다!” 아반떼 라이벌로 딱인데… 국내 출시는?
  • 일론 머스크, 한국에 “30조 투자 약속” 삼성·LG 동시에 잭팟 터졌다!
    일론 머스크, 한국에 “30조 투자 약속” 삼성·LG 동시에 잭팟 터졌다!
  • “경차 탈 바엔 조금 보태서 아반떼!” 그랜저·팰리세이드 제치고 1위한 이유
    “경차 탈 바엔 조금 보태서 아반떼!” 그랜저·팰리세이드 제치고 1위한 이유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