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횡근 역할 기능 설명 위치 및 강화 관리 방법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의 해부학과 기능
복횡근은 복벽의 가장 깊은 층을 이루는 넓고 얇은 근육으로, 7번에서 12번 늑골의 늑골 연골 내부, 흉요근막, 장골능선 전측 2/3, 서혜부 인대 상부 측면에서 기원하여 수평으로 복벽을 가로지릅니다. 이 근육 섬유는 중앙 백색선(Linea Alba)과 치골 결합부에 삽입되며, 마치 복벽을 둘러싼 ‘내장 코르셋’처럼 작용합니다. 늑간신경(T7–T11), 늑골하신경(T12), 장골극하·장골복측신경(L1)이 분포하고, 하부 후방 늑간동맥·늑골하동맥·상·하 상복동맥·외측 장골 동맥·후방 요추동맥이 혈액을 공급합니다.
복횡근의 역할 및 기능
코어 안정성과 복강압 조절
복횡근은 내·외복사근, 복직근과 협력해 복강 내 압력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호흡(특히 복식 호흡)과 강제 호기, 기침, 배변, 분만 시 압력을 상승시킵니다. 이로써 횡격막과 골반저근 사이의 ‘복강실’을 안정시키며 척추와 골반을 지지합니다. 복횡근의 기능 저하는 요통과 요추 불안정성, 복부 탈장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복횡근 약화의 임상적 함의
복횡근이 약해지면 “식사 후 아랫배만 볼록 튀어나온다”거나 장시간 서 있거나 걸을 때 허리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습니다. 누운 상태에서 배꼽 아래 복벽에 손가락 압력을 주었을 때 근육 수축이 느껴지지 않으면 복횡근 활성 부족을 의심할 수 있으며, 이는 만성 요통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물리치료사의 평가를 통해 복횡근 활성도를 점검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효과적인 복횡근 강화 운동
복부 인입(Abdominal Drawing-In Manoeuver)
-
등을 대고 누워 무릎을 세운 뒤, 배꼽을 척추 방향으로 당겨 5초간 유지하며 자연호흡을 합니다. 이때 복직근이 아닌 복횡근만 수축시키도록 집중합니다.
플랭크(Plank) & 사이드 플랭크(Side Plank)
-
기본 플랭크 자세에서 복벽 긴장을 유지하고, 사이드 플랭크로 골반 정렬을 지킨 채 복횡근을 활성화합니다. 척추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리지(Bridge) 변형
-
누운 상태에서 골반을 들어 올린 후 복강을 유지하며 골반저근과 복횡근을 동시 수축합니다. 요추 안정과 골반 정렬에 효과적입니다.
운동 시작 시 물리치료사의 지도를 받고, 점차 일상 동작에 복횡근 수축을 통합해 ‘기능적 코어 안정성’을 기르는 것이 목표입니다.
복횡근 강화의 장·단점
장점:
-
척추·골반 안정성 증대로 만성 요통 완화
-
자세 개선과 균형 능력 향상
-
복강압 조절로 배변·분만 시 부상 위험 감소
단점 및 주의:
-
과도한 수축 시 호흡 억제 발생 가능
-
잘못된 자세·호흡으로 수행 시 복벽·골반저근 불균형 초래
-
만성 질환 환자는 개별화된 운동 처방 필요
생활 속 복횡근 관리 팁
-
자세와 호흡: 장시간 앉아 있을 땐 30분마다 일어나 복부 인입 후 복식호흡으로 복강을 지지하세요.
-
규칙적 스트레칭: 고양이·소 자세 스트레칭과 깊은 호흡으로 복벽 긴장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
운동 통합: 물건 들 때 배꼽을 척추로 당기며 복횡근을 유지하고, 등·골반 근육과 함께 작동시키세요.
-
정기 평가: 통증·불편 지속 시 물리치료사 점검을 받고 맞춤 프로그램을 설계받으세요.
복횡근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모든 움직임의 근간이 되는 핵심 근육입니다.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적절한 트레이닝과 관리를 통해 통증 없이 활력 있는 삶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