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 33년 만에 메모리 왕좌 내줬다
삼성전자가 D램 시장의 절대강자 자리를 내줬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SK하이닉스는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 36%를 기록하며 34%에 그친 삼성전자를 제쳤다.
이는 삼성전자가 1993년 일본 업체를 제치고 1위에 오른 이래 처음 벌어진 일이자, 국내 반도체 산업 지형에도 큰 전환점을 암시하는 사건이다. 기술 중심 기업 이미지의 상징과도 같던 ‘세계 1위’ 타이틀이 흔들리자 재계 안팎에서는 이재용 회장의 리더십 변화 요구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 SK하이닉스, 32년 만에 삼성전자 추월하며 D램 시장 1위 등극

🧠 HBM 놓친 삼성…승부처에서 완패했다
이번 점유율 역전의 핵심은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력 격차다. SK하이닉스는 AI 수요 급증에 발맞춰 HBM 시장에서 약 70%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 등 글로벌 AI 가속기 제조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우위를 굳히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여전히 품질 검증 단계를 통과하지 못한 상태다. 여기에 중국 수출 제한까지 겹치며 고부가 제품의 출하량이 주춤했고, 1분기 삼성의 D램 매출은 전 분기보다 19.1%나 줄어들었다.
📌 HBM3E 미검증 상태…삼성, 기술력보다 품질 신뢰 확보 시급

📉 ‘1등’보다 ‘이익’을 택한 삼성의 전략 변화
삼성전자는 반격보다는 수익성 확보 전략에 방점을 찍었다. 올 하반기 주력 D램 생산라인인 화성 15·16라인의 웨이퍼 투입량을 줄이며 생산 규모 자체를 보수적으로 조정하는 분위기다.
이는 SK하이닉스가 HBM 수요 증가에 따라 생산 확대에 나서는 것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점유율보다는 수익성 극대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며, 단기적인 매출보다는 장기적 재무 건전성 유지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했다.
📌 삼성전자, 생산 축소로 수익 중심 전략 전환

💡 DDR4 깜짝 수요…2분기 실적 반등 기대
그렇다고 삼성에게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의외의 시장에서 호재가 터졌다. DDR4·LPDDR4 등 레거시 제품에서 ‘깜짝 수요’가 발생한 것이다. 감산 여파로 인한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2분기 DDR4 가격은 전 분기 대비 최대 18% 상승할 전망이다.
삼성은 작년 D램 전체 매출 중 약 30%가 DDR4와 LPDDR4에서 나왔던 만큼, 이번 가격 반등은 실적 방어에 분명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옛 기술’이 오히려 새로운 숨통을 틔워주는 형국이다.
📌 DDR4 가격 급등…삼성, 레거시 제품으로 실적 개선 시동

🌐 외부 변수도 리스크…회복 길 험난할 듯
하지만 전체적인 상황은 녹록지 않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와 관세 부과 정책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AI 호황을 주도하는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와의 격차는 단기간에 줄이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D램 점유율이 당분간 2위에 머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단순한 생산 확대보다는 기술 혁신과 고객사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 기술 격차·정책 리스크…삼성 회복까지 시간 필요

📊 왕좌 탈환 위해 필요한 건 ‘선택과 집중’
삼성전자가 다시 D램 시장의 왕좌를 탈환하려면 단순한 수익 중심 전략을 넘어 기술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HBM 기술 확보와 패키징 공정 고도화에 전사적인 역량을 모으는 동시에, 주요 고객사들과의 신뢰 회복을 위한 전략 수립이 관건이다.
또한 레거시 시장을 잘 활용하면서도 차세대 메모리 제품군으로의 전환 시점과 방향을 보다 공격적으로 조율할 필요가 있다. 이재용 회장이 직접 나선 글로벌 파운드리 전선과 더불어 메모리 본진의 회복이 절실한 시점이다.
📌 삼성의 다음 행보, 수익을 넘어 ‘혁신’에 달렸다
댓글0